한국농어촌공사 사장, 강화지역 가뭄현장 방문 추진현황 점검

강화군내 17개 저수지의 현재 저수율은 33%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따라 큰비가 없을 경우 오는 7월 10일 이후 교동, 양사면 지역의 농업용수가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승 한국 농어촌공사 사장과 안상수 국회의원은 25일 포내천 양수장과 교동면 가뭄현장을 방문해 수자원 확보 및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한국 농어촌공사 강화지사는 김포 포내천 양수장과 고려저수지 외 3개소(인산지, 황청지, 무학배수로)에 양수 시설을 설치하고 한강물 58만9천㎥ 를 취수, 한해지역에 57만9천 톤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저수율상황에 따라 올 11월 말까지 600만㎥의 한강물을 한해 지역에 공급할 방침이다.

 

특히 포내천 양수장이 대조기 시 염분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120m 상류에 새로운 양수장을 설치키로 했다.

 

또 강화지구 한강물 농업용수공급사업 준공 이전 까지 임시 관로 유지관리를 위해 매년 5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뭄극복에 힘을 쏟고 있다.

 

이같은 가뭄극복 사업 덕분에 가뭄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으나, 강화지역은 현재 전체 논 1만 160ha 중 98% 이상 모내기를 마쳤다.

 

무엇보다 강화 북부지역(강화읍,송해,하점,양사,교동)에 이어 남부 지역(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화도면, 양도면) 한강물 공급사업이 오는 10월 말 준공되면 강화 전지역의 가뭄걱정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정승 사장은 “앞으로 다양한 수자원 발굴을 통해 물관리의 효율성을 높여 가뭄극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한의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