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4대강 사업 ‘정책감사’ 여주민심 찬반갈등 수면위로

농민 “수자원 확보 일등공신” 보 개방은 잘못된 판단 주장
환경단체 “부유물 쌓여 신음” 동양하루살이 기승 주민 피해

정부가 22일 4대강 사업의 정책결정과 집행과정 등에 대해 정책감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히자 여주지역 농민들이 수자원 확보 등을 위해 잘한 사업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반해 지역 환경단체는 4대강 사업으로 각종 부유물이 쌓이면서 펄이 생기고 (남한강이) 썩어가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여주지역 농민들은 이날 “4대강 사업은 남한강 여주지역에선 물 부족으로 인한 농업용수 확보 등으로 가뭄 극복을 위해 잘한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풍부한 수자원 확보와 가뭄 물관리가 크게 향상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최근 청와대가 4대강 사업에 대해 추가로 감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건 잘못된 정책 판단이다. 다음 달 1일부터 4대강 사업의 보 6곳을 개방하겠다는 건 많은 예산을 들여 물관리사업을 벌인 것을 뒤집겠다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민서 여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남한강 상류 이포보와 강천보 구역 등지에서 수질 4급수 지표종인 실지렁이가 발견됐다. 이는 모래사장과 여울이 형성됐던 곳이 4대강의 보로 막혀 각종 부유물이 쌓이면서 펄이 생기고 썩어가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어 “4대강 사업으로 고인 물에 동양하루살이가 많이 생기면서 보 주변 식당은 물론 시내 옷가게 등이 장사를 하기 힘들 정도로 피해를 당하고 있으며, 이는 4대강 사업 이전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는 4대강 사업과 관련된 주요 공사 인허가와 관련된 일이 없어 큰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이미 3번이나 감사한 사안을 두고 또다시 감사해 이전 감사 결과를 뒤집는 결과가 나오면 문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감사는 물론 4대강 사업으로 발생한 준설토 처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는 지난 2009∼2010년 4대강 사업 추진과정에서 남한강에서 퍼낸 3천500만㎥(15t 덤프트럭 233만대 분)의 준설토를 적치장 19곳에 쌓아놓고 준설토를 팔아 1천억 원의 수입을 올릴 것이라는 부푼 꿈을 꿨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현재 준설토 적치장 19곳 가운데 9곳을 매각하고 10곳에 2만3천㎥의 준설토를 쌓아두고 있고 적치장 10곳 중 국유지와 하천부지 2곳을 제외한 8곳은 농지를 임대, 매년 30억 원 정도 임대료를 토지주에게 지불하고 있다.

여주=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