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방임 등 학대의심 꼬리물어
시교육청 초긴장… 근본 대책 분주
문대통령 공약 ‘전담조직 신설’ 기대
‘원영이 사건’ 등 아동학대 사건이 사회적 이슈가 되자 교육 당국이 무단결석, 장기결석, 미취학 학생에 대한 대대적인 전수조사에 나서는 등 점검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인천에서 장기결석과 아동학대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아동학대와 아동대상 범죄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고 어린이 안전보장 제도 구축을 위해 정부에 ‘전담컨트롤타워’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가운데 일선 학교와 교육청의 노력이 빛을 볼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중구의 A초교 1학년생인 B양(7)은 올해 한 번 학교에 나왔을 뿐 현재까지 장기결석을 하고 있다. 교육 당국의 확인 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은 B양의 어머니가 강제로 학교에 보내지 않는 등 아동학대(방임)가 의심돼 B양을 어머니로부터 분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B양의 어머니가 해당 학교에 제출한 결석사유는 신경질, 수면장애 등인데 질병으로 인한 결석처리를 하기 어렵다는 게 교육 당국의 견해다. 반면, 계양구 C초교 4학년생은 이혼한 아버지의 폭행 등 아동학대를 당한 것으로 의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고, 결국 어머니와 함께 살기로 결정, 전학 조치됐다.
한 부모 가정인 B양은 어머니와 분리조치 되면 보호자가 없어 학교에 다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활을 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다행인 점은 지난해 말 전국 최초로 인천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형 위(Wee)센터가 설치돼 B양처럼 가족과의 분리가 필요한 학생을 돌볼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가정형 위센터에는 상주하는 상담사가 있어 B양의 심리상담과 함께 어머니에 대한 상담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정이 회복돼 B양이 정상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게 가정형 위센터의 역할이다. 3~9개월 머무를 수 있고 필요하다면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어린이 안전보장 제도 구축과도 연계돼 정부에 전담컨트롤타워가 설치되면 가정형 위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형 위센터를 전국 최초로 설치했다”며 “초등학생은 가정에서 위기가 발생하면 돌봄이 중요한데 가정형 위센터에서 거주하며 심리상담 등도 받을 수 있어 최일선에서 어린이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