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 감사관실이 공직 부조리 등을 척결하기 위해 본청에 대한 감사를 추진한다.
교육부와 감사원 등 상급기관이나 외부 기관 감사가 아닌, 시교육청 자체 감사는 이례적이다. 시교육청이 상급ㆍ외부기관 감사가 있기 전에 사전 포석 깔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10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감사관실은 ‘내부통제 강화 및 정책 품질관리를 위한 본청 감사 계획(안)’을 수립했다.
감사 대상은 본청 14개 부서 중 교육혁신과를 비롯해 ▲총무과 ▲평생교육체육과 ▲학교설립기획과 ▲공보담당관실 ▲학교교육과 ▲행정관리과 등 7개 부서다.
이번 계획(안)은 내부통제 강화로 불공정 관행과 공직부조리, 구조적 비리를 척결하는 동시에 적극적 공직풍토를 조성하는 등 자체 감사기구 역할을 높이고자 기획됐다.
특히 시교육청은 예방?컨설팅 감사를 통해 불합리한 행정제도를 개선하고 상급 및 외부 기관 감사에 대비해 업무 추진 현황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본청에 대한 자체 감사 자체가 이례적이다 보니, 상급 및 외부기관 감사에 대비해 사전 포석 깔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안팎으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뇌물 등의 혐의로 수장인 이청연 교육감과 전 행정국장이 구속 수감되면서 시교육청 이미지 자체가 실추된 데다가, 최근 인천학생수영장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교육청 공무원이 불법을 알고도 묵인한 것으로 드러나는 등 공직기강 해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 같은 기조는 최근 열린 부패취약분야 청렴도 향상으로 위한 반부패 실무추진단 회의에서도 제기됐다. 당시 이미옥 감사관은 “최근 각종 부정적인 언론보도가 계속되고 이로 인해 인천시교육청의 이미지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는 등 실추된 시교육청 이미지 쇄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인천교육계 관계자는 “본청에 대한 자체감사는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라며 “교육감이 구속 수감된 이후 교육계 안팎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을 의식한 처사로 일종의 포석 깔기가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감사는 교육부나 감사원 등 상급ㆍ외부 기관 감사에서 반복되는 지적사항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부 감시가 아닌 사전에 예방주사를 놓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