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5黨 “사업 속도… 주민 생활·재산권 보호”
정비사업구역 지정 11년째 ‘제자리걸음’
인천의 원도심지역 대부분은 지난 2006년부터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됐지만,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시는 결국 212곳이던 정비사업구역을 119개 구역으로 축소했지만 제자리 걸음만 반복하는 양상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원도심 주민의 재산권 행사 등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지원이 필요하단 입장이다. 이를 위해 원도심의 기반시설을 개선하고 주택개량도 지원하는 한편, 인천병무청(남구 학익동) 등 각종 기관을 신설하겠다는 내용을 내놓고 있다.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인천시장 정책본부장은 “도시재생사업에 매년 10조 원씩 5년 동안 총 50조 원을 투입하겠다”며 “재생사업은 주민의견을 거쳐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은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을 지원하고 경인국철 인천구간 지하화를 통한 상부구간 녹지 조성과 함께 굴포천의 상류 복원재생사업을 통한 악취예방 및 친환경 도시하천 조성 계획을 제시했다.
자유한국당 인천시당 관계자는 “인천의 원도심은 인천을 있게 한 어머니 같은 존재지만 지금은 꿈이 희미해진 도시가 됐다”며 “원도심의 화려한 부활을 통해 인천의 면모를 일신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원도심 주민 재정착 및 새로운 활력 증진’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중에는 도심 내 군부대와 예비군 훈련장 이전 및 현재의 민간 뉴스테이 정책을 고쳐 원주민들의 거주권을 확보하겠단 입장이다.
변한오 국민의당 인천시당 정책실장은 “도심에 있는 군 관련 시설을 이전해 공원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잘못된 뉴스테이 정책을 수정하고 공공 임대주택을 만들어 원주민이 살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바른정당은 원도심의 특색과 스토리를 살리는 재생사업을 추진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국가차원의 지원을 통해 도심 단절을 해소하겠다고 주장했다.
정일우 바른정당 인천시당 사무처장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은 전 구간 동시 착공이 원칙"이라며 "GTX-B노선이 주안역을 통과토록 해 경제성과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정의당은 경인고속도로의 일반화도로 전환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토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부평미군기지를 조속히 반환토록 하고, 국가가 책임을 지고 오염정화를 비롯해 녹지공원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종현 정의당 인천시당 사무처장은 “부평미군기지의 경우 교통의 중심지를 꽉 막고 있는데다 녹지 또한 부족한 상황이라 빠른 시일 내에 반환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