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기본방향·5대 전략·37개 사업 발표
인천지역 특성에 교육정책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형 교육주권 정책제안을 위한 민간협의회는 1일 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인천형 교육주권 어젠다 설정을 위한 토론회’를 갖고 송도국제도시(UN 산하기구)와 글로벌 캠퍼스 등 인천만의 특색 있는 교육 인프라를 활용한 아젠다 37개 사업을 발표했다.
시민 중심의 수요자 맞춤형 교육정책 발굴을 위해 마련된, 이날 토론회에서 교육주권 어젠다로 창의융합형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3개 기본방향 및 5대 추진전략, 유ㆍ초ㆍ중ㆍ고 제도개선, 평생교육, 융합 분야 등 5개 분야(37개 사업)로 설정, 발표됐다.
3대 기본방향은 ▲글로벌 지향형(국제도시 시민에 필요한 교육, 영어, 대학간 학점 교류 등)▲시민 참여형(주입식 교육→시민의 능동적 참여형 교육으로 전환 등) ▲지역 특화형(인천만의 독특한 특징ㆍ환경을 장점으로 살린 사업 승화 등)이 주요 골자다.
또 5대 추진전략은 ▲실행성 강조 ▲전략적 추진 ▲통합연계형 ▲밀착ㆍ네트워크형 ▲지속가능성 제고 등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통합연계형은 기존의 사업, 기능, 주체간 통합 및 연계 강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와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학제간 학문 영역간 융합 촉진 등을 강조하고 있다.
37개 사업은 초ㆍ중ㆍ고 교육, 제도개선, 평생교육, 융합교육 등 5개 분야에서 도출된 전체 과제를 글로벌화, 지역특화 등 기본방향과 교육의 보편성 및 수월성의 교육경쟁력 차원에서 구분했다.
특히, 지역특화와 관련된 과제가 전체의 65%(24개)를 차지했다.
민간협의회는 이번 토론회에서 최종 결정된 정책사업안(인천형 교육주권 정책제안서)을 오는 10일 인천시와 교육청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이기우 인천재능대 총장이 좌장을 맡았고, 강문봉 경인교대 부총장, 김기완 인천상의 상근부회장, 김복영 인천대 교수, 김은경 인하대 초빙교수, 박승란 인천 교총연합회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최대억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