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종·청라 주민 불편 해소 ‘한 목소리’
통행료 손실보전금 해법은 ‘5黨 5色’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하늘도시~청라국제도시간 4.85㎞(해상교량 3.54㎞)로 영종도와 육지를 잇는 3번째 교량인 제3연륙교는, 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 활성화는 물론 주민들의 교통인프라 확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다.
그러나 앞서 개통한 1·2연륙교(영종대교·인천대교)의 통행료 손실을 누가 부담할지를 놓고 오랫동안 국토교통부와 줄다리기를 계속하고 있어 어느 현안보다 정치권의 결단이 필요하다.
주요 5개 정단 인천시당은 인천경제자유구역 활성화와 영종·청라지역 주민불편 해소를 위한 제3연륙교 건설사업에 모두 원칙적인 찬성 입장을 표명했지만, 투자손실금 보전 등 현실적인 문제를 앞에 두고 각 정당간 미묘한 해법 차이를 보였다.
1일 인천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시당은 제3연륙교 건설사업을 인천 정책공약에 포함시켜 적극적인 표심공략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환황해권 경제·교통의 중심도시 인천 육성’이라는 인천지역 핵심 비전에 이 사업을 포함시켜 사업 조기 추진을 자신하고 있다.
더민주 시당 관계자는 “앞서 문재인 후보가 부평역을 방문했을 때 제3연륙교 건설사업을 대통령 당선 이후 빠른 시일 내에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인천경제자유구역 경쟁력 확보방안으로 인천~서울~경기를 연결하는 광역교통체계가 필요하다는 점과 연계해 손실보전금 추가 보증을 정부가 지원하는 등 조기 추진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 시당은 중·서구지역 필수공약으로 제3연륙교 조기착공을 핵심공약으로 내세웠다. 기본설계 추진에 정부와 LH가 적극 나서게 해 손실보전금 이해당사자간 이견을 적극 조정,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시당 관계자는 “정부가 약속한 제3연륙교 사업이 지연돼 중앙정부는 물론 인천시 정부의 신뢰성이 크게 하락한 것이 사실”이라며 “지역균형발전 논리로 영종지역 개발 촉진을 위해 사업 조기 추진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시당은 2024년 준공, 2025년 개통이라는 제3연륙교 사업계획을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영종·인천대교 사업 재구조화를 통해 손실보전금을 낮추는 방안에 주력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영종·청라지역 주민들에 한해 통행료를 대폭 인하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바른정당·정의당은 원칙적인 사업 추진을 약속했을 뿐 구체적인 해법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바른정당 시당의 경우 공식적으로 제시한 인천지역 7대 공약에 제3연륙교 건설방안을 포함하지 못했다. 정의당 시당의 경우 서해 평화협력 특별지대 구축의 일환으로 제3연륙교 조속 착공방안을 약속했지만, 손실보전금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