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시설 안전진단 ‘수박 겉핥기’ 구도심 30년 넘은 노후 교사 ‘수두룩’

안전대진단 결과 인천 2곳 ‘빨간불’
시교육청, 1차 점검 육안검사 불신자초

지난 2월 인천의 한 중학교 학생수영장 천장 내장재 붕괴사고로 교육시설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교육부 안전대진단 결과 인천지역 2개 학교 건물이 정밀진단 대상이 됐다.

 

23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의 ‘2017년 교육시설 안전대진단’에 따라 올해 초 인천 초ㆍ중ㆍ고등학교와 직속기관 등 학교시설 2천894곳을 점검한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1곳이 정밀안전진단에 지정됐다. 또 교육청 직속기관 1곳과 고교 강당 2곳은 안전점검 중 이상이 발견돼 보수보강이 이뤄졌다.

 

점검은 ▲시설물 사용자 자체점검 ▲전문가 합동점검(위험요소 발견된 시설) ▲전문기관 정밀점검 의뢰(구조적 위험이 발견된 시설) 등 단계별 점검ㆍ진단으로 진행됐다.

 

정밀점검 대상인 서구 A 초등학교는 지난해 보수보강이 이뤄진 부분을 진단하고자 지정된 반면, 중구 B 중학교는 학교 건물에 육안으로도 보이는 균열이 발생했다.

 

해마다 3번에 걸쳐 학교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점검을 해온 시교육청은 1차로 학교 관계자가 육안으로 균열 등이 있는지 점검을 한 뒤 문제가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지역교육청 기술직 공무원이 점검에 나선다. 점검 결과 A~E까지 5개 등급으로 나눠 이중 D, E 등급은 정밀진단 대상이 되는 방식이다.

 

이처럼 정밀진단을 하기 전에는 눈으로 확인한 후 등급을 나누는 방식이어서, 건물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것까지 확인할 수 없다. 진단 요건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나오는 이유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인천 구도심 지역의 학교는 30년이 넘은 건물이 많은데 해마다 육안으로 안전점검을 하고 있어 수박 겉핥기식으로 이뤄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매해 3번씩 총 3단계에 걸쳐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며 “예산 등의 문제로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정밀진단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