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NASA와 공동으로 우주탐사체 개발

랭글리연구소와 SAA 합의… 올해부터 공동연구 착수

인하대가 미 항공우주국(NASA)와 공동으로 우주탐사체 개발에 나선다.

 

인하대는 6일 아시아 대학으로는 최초로 미국항공우주국(NASA) 랭글리 연구소와 공동 연구를 위한 우주개발협력서(SAA)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SAA는 민간차원에서 나사의 우주개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약으로 지난달 말 미국 정부와 나사 본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랭글리 연구소는 미국 내 10개 나사 연구소 중 가장 먼저 생긴 연구소다.

 

이곳에선 공기 유동과 첨단소재, 우주선 시스템 등 우주과학 분야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연구한다.

 

인하대는 이번 합의에 따라 랭글리 연구소가 추진 중인 ‘헬리오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심우주 탐사를 위한 발사체 개발을 주요 골자로 한다. 당장 올해부터 2년 간 연구인력 교류를 통한 공동 연구에 들어간다. 결과에 따라 기간은 2년 씩 연장된다.

 

이달에는 나사 연구팀이 인하대를 방문해 구체적인 연구 일정을 협의하고 심우주 연구에 대한 심포지엄도 열 예정이다.

 

심우주는 지구와 달을 넘어선 우주 전체를 포함한다. 공동으로 연구 개발하게 될 탐사체는 태양풍 등 태양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해 화성과 목성을 오가게 된다.

 

대학 측은 이번 프로젝트 참여로 국가 연구·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심우주 탐사체 관련 원천기술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하대는 올 하반기 ‘인하 IST-나사 심우주탐사 국제공동연구센터’ 지역 사무소를 설치하고 방학기간에는 연구인력과 대학원생들이 나사를 방문한다는 계획이다.

 

나사와의 합의를 이끈 김주형 인하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번 합의는 기술 교류 차원이 아닌 인하대 연구진들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나사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 항공우주 연구 분야의 갈증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준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