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의 2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동기 대비 15.1% 증가해 19만 TEU를 돌파했다. 주요 증가 원인은 인천신항의 활성화와 한ㆍ중 FTA, 인천항 유관기관ㆍ협력사들의 협업에 따른 신규 서비스 공급으로 풀이된다.
3월 31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인천항의 올 2월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역대 2월 물동량 중 최대치인 19만 2천981TEU로 집계됐다.
수입 물동량은 전년동월 대비 약 1천TEU 증가한 8만 1천559TEU로, 전체 물량 가운데 42.3%를 차지했다. 수출은 8만 8천659TEU로 지난해 2월보다 약 4천TEU 증가했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천456TEU, 2만 1천307TEU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교역량(9만 8천347TEU)이 사드 영향에 대한 우려 속에도 6%(5천536TEU) 증가했고, 같은 기간 8천935TEU를 기록한 대만은 80.5%(3천984TEU) 늘었다.
반면 3천736TEU로 집계된 대 일본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입에서 전년 동월에 비해 985TEU의 감소를 보이면서 22.4%(1천78TEU), 러시아(190TEU)는 80.3%(774TEU)가 줄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시아(4만 720TEU) 물량이 10.4%(3천850TEU) 증가했고, 중동(4천24TEU)도 228%(2천987TEU)가 급증했다. 반면, 극동아시아(11만 3천314TEU)는 1.2%(1천321TEU) 감소했고, 3천736TEU에 그친 일본도 22.4%(1천78TEU) 줄었다.
임준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