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도산시 건조중인 선박 가치 논란

대우조선해양 도산 시 예상되는 손실액을 두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가 3배 이상 차이 나 논란이 예상된다.

 

26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최근 자체 분석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을 시장 논리에 따라 처리할 경우 국가 경제적 손실이 최소 12조원에서 최대 17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앞서 금융위원회가 추산한 손실액 59조원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두 부처 간 차이가 발생한 가장 큰 이유는 대우조선이 건조 중인 선박의 가치를 다르게 계산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대우조선이 도산할 경우 현재 건조 중인 선박 114척(지난해 말 기준)에 들어간 32조원을 모두 손실로 계산한 반면 산업부는 발주가 취소되더라도 어떻게든 다 만들어 판다면 그 이상의 돈을 회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23일 대우조선 구조조정 방안 발표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든 위험요인이 최악의 상황에서 실현됐을 때의 추정치”라며 “전제와 팩트가 분명한 숫자”라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우조선 손실액을 산정한 자료를 검토하고 우리 부 자체적으로도 분석한 결과 59조원은 지나치다고 봤으며 금융위에도 그런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