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구 중 1가구 ‘부채 허덕’ 한계… 소득-최저생계비-원리금=마이너스

우리나라에서 은행 등 금융권 부채를 제때 갚을 수 없는 ‘한계가구’는 부채가 있는 5가구 중 1가구 꼴이며, 전국에 200만 가구가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 한계가구는 매달 최저생계비를 뺀 소득에서 원리금을 갚고 나면 가계가 마이너스(―)에 놓이게 되는 가구를 말한다.

 

14일 한국신용평가 등에 따르면 부채 보유한 전국의 전체 1천86만3천55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달 소득에서 최저생계비를 빼면 원리금 상환조차 어려운 한계가구가 200만 가구로 이는 전체 부채보유 가구 1천86만3554가구의 19.9%에 해당한다. 통계청이 추산한 한계가구 비중 12.5%보다 7.4%포인트나 높다.

 

이들 한계가구가 보유한 은행권(대구은행 제외)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69조원으로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개인사업자 대출 포함) 648조원의 26.1%로 추산됐다.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시중은행이 144조원으로 전체 가계대출 557조원의 25.9%를 차지했다.

외국은행 가계대출 39조원에서 한계가구의 위험 대출 규모는 10조원(25.6%)이었다. 지방은행 가계대출에선 한계가구 몫이 15조원으로 전체(52조원)의 30.2%에 달했다.

 

특히 이들 은행권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위험한 상태로 지적됐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이 101조원으로 전체(348조원)의 32.1%에 달하고 3년도 안 돼 2배 수준으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 구간 대출 비중은 2013년 말만 해도 15.4%에 머물렀다.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74%인 63조원이 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에 해당한다.

여기에 230조원 규모의 개인사업자 대출도 전체 은행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5%로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한국신용평가는 “시간이 지나면서 한계가구로 편입되는 가구가 늘어나 금리 인상과 경기위기가 현실화하면 변동금리로 대출받은 가구들이 채무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신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