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기반 출입통제시스템 개선사업 본격 추진
인천항에 보다 진화한 출입통제시스템이 도입돼 항만 보안이 강화될 전망이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인천항 출입문 11개소에 보다 진화한 운영전략을 겸비한 RFID(전자태그 또는 무선식별) 기반 항만출입통제시스템 구축사업을 올 상반기부터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IPA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난해 해양수산부에서 전국 항만의 출입증을 표준·일원화한 ‘통합 항만출입증’을 준수함과 동시에 인천항의 특성에 맞춰 보안에 특화된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IPA측은 이번 RFID 기반 항만출입 통제시스템이 올해 상반기 중 착수 예정인 ‘항만보안시스템 통합 구축사업’의 일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연말부터 시스템이 본격 가동되면 항만 출입관리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보안성이 강화돼 인천항의 항만보안 시스템이 혁신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IPA는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새로 도입되는 ‘통합 항만보안시스템’을 통해 인천항에 설치된 첨단 보안장비 및 출입통제시스템으로부터 취합된 정보를 인천항 통합상황실에서 활용해 새로운 보안운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되므로 향후 IT를 활용한 진화된 새로운 보안운영이 이뤄지게 된다.
박성채 IPA 정보기술팀장은 “그간 항만에 적용된 RFID기반 항만출입관리시스템은 출입통제의 기능보다 항만출입증발급 등 출입관리의 목적이 강한 시스템으로 평가돼 왔다”며, “이번 개선사업으로 물류 흐름 개선은 물론, 취약한 항만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준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