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교 이름 밝힐 수 없다” 쉬쉬
교육부가 6일 국정 역사교과서를 수업 보조교재나 참고자료로 쓰겠다고 신청한 학교 83곳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인천지역 학교 1곳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돼 인천 교육계 찬반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3일까지 전국 83개 학교에서 국정 역사(중학교), 한국사(고등학교) 등 교과서 3천764권, 교사용 지도서 218권 등 총 3천982권의 국정교과서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신청학교를 세부적으로 보면 중학교 33곳, 고등학교 49곳이며 공립 22곳, 사립 61곳이다. 이들 학교 중 경북지역 학교가 19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 13곳, 서울 11곳, 충남 10곳이 뒤를 이었다. 인천지역에도 1개 학교에서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그러나 학교 명단이 발표되면 단위 학교 선택권이 침해받을 수 있다며 이를 비공개했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교육부에 문의했지만 신청학교 명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 학교 중 실제 수업에서 국정교과서를 보조교재로 활용하는 학교가 얼마나 될 지는 미지수다. 일선학교에서 한 학년 전체가 국정교과서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경우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인천 교육계에서는 반대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인천지역은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이 단 한 곳도 없을 정도로 반대여론이 우세했던 만큼 참고자료 활용에도 반대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전교조 인천지부의 한 관계자는 “현장에서 거부당한 국정교과서를 어떻게든 적용하려는 교육부에 반대하며 일선 교육현장에서 반대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