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미은하레일, 모노레일로 전환하고도 사실상 무산

교통公 이사회, 민간사업자 협약해지 의결… 법적 다툼 예고

각종 문제점 발생으로 사업지연이 우려된 월미모노레일사업(본보 2월10일자 1면)이 끝내 백지화 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구조물 부실과 민간사업자의 자금조달 등 사업 곳곳에서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인천교통공사와 민간사업자 간 법적 다툼도 불가피해졌다.

 

김종익 인천모노레일㈜ 총괄사장은 23일 인천시청 기자실을 방문해 “사업구간 내 역사 건물 등 구조물 등기가 되어 있지 않아 공사에 큰 차질을 빚고, 필수적인 시설관리대장을 넘겨주지 않는 등 교통공사가 비협조로 일관해 큰 손해를 입었다”며 “사업지연 책임은 교통공사에 있다.”라고 주장했다.

 

김 총괄사장은 이어 “교통공사가 계약해지를 통보해오면 사업지연에 따른 민·형사상 소송을 제기하는 등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853억원의 시민 혈세를 투입해 완공했음에도 부실시공으로 단 한 차례 정식운행을 하지 못하고 소형모노레일사업으로 전환된 월미모노레일사업은, 또다시 전면 중단 기로에 놓였다.

 

당초 인천모노레일 측은 오는 5월 정식개통을 약속했지만 여태까지 75억원 가량을 들여 기존에 설치된 레일 일부를 철거했을 뿐, 약속한 사업일정 대부분을 착수하지 못했다.

 

사정이 이렇자 교통공사 측은 사업시행자의 수행의지를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바꿔 최근 열린 이사회를 통해 계약해지를 의결하는 등 해지 수순을 밟고 있다. 아직 이중호 사장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지만, 공사 안팎에서는 사업 무산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기존 은하레일에 이어 소형 모노레일 도입까지 무산됨에 따라 시와 교통공사는 결국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계약이 해지되면 현 소형 모노레일을 유치한 채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할 수도 있지만, 기존 구조물의 부실상태가 심하다 보니 최악에는 시 재정사업으로 전환하거나 아예 사업을 포기하는 상황까지 우려된다.

 

더구나 가람스페이스 측이 소송을 제기할 경우, 교통공사는 월미은하레일 첫 사업시행사인 한신공영에 이어 연달아 법적 공방에 휘말리게 돼 법적 비용손실까지 있게 된다.

 

이와 관련, 교통공사의 한 관계자는 “필요한 지원을 모두 해온 만큼 사업 무산의 책임은 사업시행사에 있다”고 반박하며 “계약해지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해지되면 사업 방식을 다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인천모노레일㈜는 지난 2015년 2월 교통공사와 실시협약을 체결한 가람스페이스 측이 자본금 25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회사다.

 

양광범·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