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시의회 ‘원도심재생협의회’ 발족… 혹시나? 역시나!

재원 막막
도시정비기금 태부족 지역별 기본방향 실종

인천시가 인천시의회와 함께 원도심재생협의회를 발족했다. 하지만 기존 단체들과 차별성이 없고, 뚜렷한 도시재생 대책이나 재원마련 방안이 부족해 실효성 논란이 예상된다.

 

7일 시와 시의회는 원도심의 각종 현안에 대한 원인 파악과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활성화 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원도심재생협의회를 발족했다. 또 전통시장에 대한 보완책과 활성화방안을 마련해 원도심 부활에 힘을 싣는다는 취지다.

 

그러나 원도심협의회가 기존 원도심 관련 단체 등과 차별성이 없고, 원도심의 쇠퇴원인과 재생대책, 재원마련 방안은 고사하고 지역별로 기본적인 방향조차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는 21개 지역의 원도심 재생을 위해 주차장과 소공원, 안전시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마을회관 등 공동이용시설을 건설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이는 기존 ‘원도심 활성화 추진단’의 계획과 같다.

 

또 일반 재정비 사업들이 추진하는 공영주차장 확대사업과 119개 도시정비사업구역에 대한 해제 및 사업 실행 여부 검토 등도 대책으로 내놓았다.

 

특히 이를 위해서는 1천억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도시정비기금은 300억원에 머물러, 재원마련 방안은 전무한 채 추가 예산지원만 기대하고 있다.

 

21명으로 구성된 협의회도 단순히 건설쪽에 치우쳐 기존 재개발 사업과 다를 바 없다. 원도심재생과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시의회 3개 상임위원회위원장(기획행정·건설교통·산업경제)과 집행부의 실·국장(기획조정실장·도시계획국장·도시균형건설국장), LH인천지역본부장, 인천도시공사 사장, 건설전공 대학교수 등으로 이뤄져, 문화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했던 ‘원도심 활성화 자문위원회’와 비교된다.

 

전성수 행정부시장은 “원도심 재생을 위해 제대로 된 진단과 원인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한다”며 “회의를 통해 해결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일단 시와 시의회가 머리를 맞댔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연선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