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 왜곡 歷死… 도넘은 친일·독재미화 폐기 마땅”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 ‘국정교과서 1년 유예·연구학교 운영 대응방안’ 토론회

▲ 24일 인천시 부평구 부평아트센터 세미나실에서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 주최 ‘국정 역사교과서 1년 유예와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포럼이 열리고 있다.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 제공
▲ 24일 인천시 부평구 부평아트센터 세미나실에서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 주최 ‘국정 역사교과서 1년 유예와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포럼이 열리고 있다.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 제공
인천 교육계가 교육부가 추진하는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한 목소리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지역 교육시민단체인 인천교육희망네트워크는 24일 부평아트센터에서 ‘국정교과서 1년 유예와 연구학교 운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준식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은 “역사 전문가들이 지난해 말까지 집계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 오류는 사실오류나 부정확한 시기적 서술 등을 합쳐 700개 이상”이라며 “국정교과서의 실체는 과거 친일·독재 미화로 교육현장에서 퇴출당한 교학사 교과서를 능가하는 불량품이며 박정희 전 대통령을 위한 효도 교과서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친일문제에 대한 서술을 보면 군인, 경찰, 관료 등 해방 이후 영향을 끼친 친일파들에 대한 서술이 의도적으로 빼져 있는 등 균형감을 상실한 서술이 다수 확인됐다.”라며 “특히 교육부는 현장검토본 공개 한 달만에 연구학교 지정을 강행하는 비상식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후 진행된 토론에서도 국정교과서와 연구학교 지정을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신은호 인천시의회 교육위원장(더민주·부평1)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학생들에게 진리가 아닌 것, 진실이 아닌 것을 전달해서는 안된다”며 “아이들의 미래를 책임질 교육의 수장인 교육부는 늦었지만 이미 국민들에게 탄핵당한 국정교과서 추진을 중단하고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예성 청소년인권복지센터 내일 운영위원은 “국정교과서를 배우는 사람은 청소년들인데, 왜 청소년들의 의견을 물어보지 않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인천지역 청소년들도 이미 지난 2015년부터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기 위한 서명운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교육의 주체이며 자신이 받을 교육에 대한 판단·결정할 권리가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다음달 15일까지 국정교과서 사용을 희망하는 모든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겠다며 관련 공문을 보냈지만, 현재 시교육청이 공문 전달 등 행정절차를 거부하고 있어 국정교과서를 둘러싼 양 기관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