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내달 10일까지 신청 받아
시교육청 “행정절차 협조 안한다”
일선 학교 혼란… 찬반논란 가열
“연구학교 지정공모가 한 달 남았는데 교육부와 인천시교육청이 갈등을 겪고 있으니 엉뚱하게 학교운영위원회가 최종 결정을 떠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교육부가 국정역사교과서를 사용하는 연구학교 지정을 본격 추진하면서 인천지역 일선 학교가 찬반논란을 겪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이 연구학교 지정에 반대 움직임을 보이며 교육부와 갈등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자 최종결정을 떠안을 일선 학교들의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1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가 각 시도교육청에 다음달 10일까지 연구학교 운영 신청서를 접수하라는 공문을 보내면서 일선 학교 내 찬반논란이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천의 한 고등학교 교사 A씨는 “인천을 비롯한 대다수 시도교육청이 국정교과서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어 교육부가 직접 학교장들을 대상으로 연구학교 지정 신청서를 받을 수도 있다.”라며 “학운위 의견을 수렴하도록 규정했지만 강제사항이 아니다 보니 학교장이 임의적으로 신청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교의 교사 B씨도 “공립학교가 아닌 사립학교에서는 자체적으로 연구학교 지정을 신청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시교육청 뿐 아니라 인천지역 학교 간 갈등으로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부모가 포함된 일선학교 운영위원회도 난감한 입장이다. 연구학교 공모 마감이 불과 한 달 남은 상황에서 교육부와 시교육청의 갈등이 지속하다 보니 학운위가 지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부담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의 한 중학교 학운위원인 학부모 C씨는 “공모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시교육청이나 학교에서 아무런 설명이 없어 학운위 의견은 그냥 요식행위로 유야무야 넘어가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크다.”라며 “이번달 중으로 열리는 운영위원회를 통해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어봐야 할 것”이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교육부는 최근 보낸 공문을 통해 연구학교는 2017학년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교과목에 ‘역사’나 ‘한국사’ 과목을 편성한 학교를 대상으로 하며, 국정교과서를 주교재로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신청서를 접수한 학교를 전부 연구학교로 지정해 지원금과 교원 가산점을 지원하겠다는 파격적인 행보도 예고했다.
그러나 최근 이청연 교육감이 직·간접적으로 연구학교 지정에 반대해온 만큼 시교육청은 차후 교육부의 행정절차에 협조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다른 분야의 경우도 교육부가 요청한다고 무조건 연구학교로 지정해오지는 않았다”며 “국정교과서 지정을 위한 행정절차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연구학교 참여 여부는 단위학교 구성원과 학교장의 결정사항”이라며 “교육부의 적법한 정책 추진을 시도교육청이 거부하면 관계법령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