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서비스업이 질적으로 성장하려면 중점 업종을 선정해 제조업과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은행 인천본부는 최근 ‘인천경제리뷰: 인천지역의 전략적 서비스업의 선정과 육성과제’를 발표해 이같이 제안했다.
인천은 2000년대 들어 전국과 달리 제조업 비중이 줄어들고 서비스업 비중이 늘어났다.
무엇보다도 항만과 공항이 있는 지리적 영향으로 창고·운송관련서비스업, 항공운송업 비중이 높고, 대규모 건설 개발이 십수 년째 이어지며 건축기술·엔지니어링·기타과학기술서비스업도 상대적으로 높다.
이와 함께 신도시 개발과 수도권 인구 유입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비중도 다소 높았다.
하지만 인천지역 서비스업은 영세한 업종이 많고 제조업과 연계성이 부족한 데다, 전문인력 기반 서비스업이 부진해 부가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통계청이 발표한 ‘주요 시도 서비스업의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2010년 인천지역의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6억1천500만 원으로, 우리나라 평균 8억3천800만 원보다 2억여 원 가량 낮았다.
고부가가치 업종인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금융·보험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 전문인력 기반 서비스업종의 매출액과 노동 생산성은 전국보다 낮았다.
서비스업 고용 구조 역시 단순 인력 기반 서비스업 비중이 타지역보다 높아 생산·부가가치 파급효과가 적다.
한은 인천본부는 이를 극복하고 인천의 산업고도화를 이루려면 제조업과 연계해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은 인천본부는 창고·운송 관련 서비스업과 건축기술·엔지니어링·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사업 지원 서비스업 등은 인천이 축적한 제조 역량과 연계가 가능하고, 질적인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또 정책 추진방향과 수요시장 확산 가능성을 고려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선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과 시장 환경에 대응하는 서비스 혁신활동 지원, 서비스 업체 전문화·대형화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 인천본부 관계자는 “서비스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전담 조직이나 인력 등을 갖춰 정부 정책과 연계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