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연 교육감, 본보 인터뷰… “폐기가 정답”
이청연 인천시교육감이 교육부가 내년부터 국정 역사교과서를 사용하는 ‘연구학교’ 지정 움직임에 명확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 교육감은 28일 본보와 가진 신년 인터뷰에서 “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적용을 1년 연기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기존 검정교과서와의 혼용, 연구학교 지정하는 등 국정교과서를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교육부 발표는 미봉책에 불과하며, 지금이라도 유예가 아닌 폐기가 정답이다”고 강조했다.
이 교육감은 또 교육부가 국정교과서 사용을 원하는 학교를 지정해 연구지원금 1천만원과 가산점을 부여하는 이른바 연구학교 지정에도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인천 교육계 대부분이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고 있는 만큼 연구학교 지정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도 피력했다.
그는 “교과서는 일선 학교 내 학교운영위원회를 거쳐 학교장이 지정하는 것은 맞지만 국정교과서 사용여부를 학교가 자체적으로 결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역사교과 관련 교사들을 만나보면 도저히 국정교과서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교육 현장 분위기가 그만큼 냉담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현재 인천지역 124개 고등학교 중 1학년 교과과정에 역사를 편성한 학교는 모두 58개교로 이들 학교는 국정교과서를 신청한 상태다. 이들 학교 중 일부가 연구학교 지정을 신청할 경우 국정교과서 사용을 둘러싼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교육감은 “정부가 국정교과서 문제로 끊임없이 교육현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교육당국의 사과와 책임을 지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인천지역 학교의 연구학교 지정과 관련해서는 해당부서 및 일선 교사들과 긴밀히 논의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교육감은 또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시교육청 청사의 서구 루원시티 이전에 대해 시의 논의 방식이 잘못됐다며 반대의 뜻을 나타냈다.
그는 “시청과 같이 시교육청이 이전하는 것도 아닌데 사전에 양 기관의 충분한 논의 없이 시교육청 이전이 공론화된 지금 사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청사 이전 문제는 교육관계자, 지역여론, 학부모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시청과 논의 테이블이 마련될 수는 있지만 단시간 내에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며 당장 결론내릴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