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구청 복개 종점~김포 한강 합류점
15.31km 구간 5개 지자체 분할 관리
체계적인 관리 한계 목소리 정부 수용
인천시·부평구 “친수공간 재탄생 기대”
인천시는 27일 굴포천이 다음 달 중 국가하천으로 지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국토교통부 하천계획과는 중앙하천관리위원회를 열고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 부평구청 복개 종점부터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한강 합류점까지 15.31km, 131.75㎢를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시키기로 결정했다.
굴포천은 인천시 부평구·계양구를 비롯해 경기도 부천시·김포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 3개 시도와 5개 시·구를 흐르는 인접 인구 200만의 서부 수도권 대표 지방하천이다.
하지만, 하나의 하천을 5개 지자체가 나눠 관리하면서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오염하천이란 지적을 받아 왔다.
특히 유역의 40%가 한강 수위 이하 저지대로 과거부터 홍수에 취약하다.
게다가 중·하류지역은 주거밀집지역과 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오·폐수 유입, 국가하천인 아라천의 방수 등으로 수질이 악화돼 올봄에도 부평구간에서 물고기 집단 떼죽음이 발생한 바 있다.
때문에 시는 지난 2008년부터 부평·계양구, 경기도 부천·김포시, 서울시 강서구와 함께 굴포천의 국가하천 지정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역 정치권에 굴포천의 국가하천 지정의 당위성을 꾸준히 설명해 왔다.
앞으로 하천의 홍수 방재와 수질 개선 등을 위한 대규모 개선사업은 국가에서 맡게 된다.
하천의 정화 등 소규모 유지관리 사업은 국가 예산 지원으로 지자체가 관리한다.
시 관계자는 “굴포천의 국가하천 승격으로 치수 안정과 수질 개선으로 오염하천의 이미지를 벗어나 한강-아라뱃길-굴포천을 연결하는 수도권 대표 친수공간으로 탈바꿈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미영 부평구청장은 “부평구가 경제·문화·생태 도시로 거듭날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며 “굴포천 유역의 도시들 사이에 행복생활권이 조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