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경기도 AI 확산세 지속… 살처분 가금류 1천200만 마리, 보상금 750억 원 규모
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AI 확산세 지속… 살처분 가금류 1천200만 마리, 보상금 750억 원 규모

경기도내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살처분 가금류가 1천2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이로 인한 살처분 보상금만 해도 규모가 7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5일 경기도 AI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도내 11개 시ㆍ군에서 AI 감염이 확진된 78개 농가와 예방적 살처분 농가 50여 곳에서 닭과 오리 등 1천200만여 마리가 이미 살처분됐거나 조치를 앞두고 있다. 이는 도내 사육 가금류 5천400만 마리의 22.2%를 차지하며 5마리 중 1마리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국에서 살처분되거나 조치를 앞둔 가금류는 모두 2천500만여 마리다. 도내에서는 지난 23일 6곳이 추가로 AI 감염 확진 판정을 받으며 확산세가 수드러 들지 않고 있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서울대공원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원앙이 무더기로 살처분 되면서 진정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럼에도 앞서 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2일 발생 농가가 없다’는 내용 등을 적시, 일부 안일한 방역태도로 비춰져 눈총을 받고 있다.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 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며, 전국 가금류 살처분 수가 2천만여 마리를 넘어섰다. 성탄절 휴일인 25일 오후 평택 팽성읍의 한 산란계 농가에서 관계자들이 휴일을 반납한 채 37만5천여 마리의 닭을 살처분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 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며, 전국 가금류 살처분 수가 2천만여 마리를 넘어섰다. 성탄절 휴일인 25일 오후 평택 팽성읍의 한 산란계 농가에서 관계자들이 휴일을 반납한 채 37만5천여 마리의 닭을 살처분하고 있다. 오승현기자

도는 현재까지 1천122만여 마리의 가금류에 대한 살처분을 완료했으며 안성, 여주, 평택 등 3개 지역에서 남은 80만여 마리의 가금류 매몰 작업을 26일까지 모두 끝낼 예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피해농가들에 대한 살처분 보상금 정산 작업에 착수했다. 피해농가 수가 100곳을 넘어섰고, 피해규모도 큰 만큼 보상금을 가산정해 40%는 선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도내 AI로 인한 살처분 보상금은 750억 원 규모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농가들의 피해 복구를 위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살처분 보상금 중 일부라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남경필 도지사도 이날 대책본부를 찾아 발생 현황 등을 보고받은 뒤, 피해농가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AI 여파로 계란 가격이 급등하면서 추가 가격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로 일부 농가가 의심 신고를 늦출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 지방자치단체와 생산자단체 참여 하에 식용란 출하량 및 종오리장 산란율을 점검키로 했다. 또 신고 지연 시에는 살처분 보상금 일부를 삭감하는 방안도 홍보할 방침이다.

 

유병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