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세관, 수출기업 1천580곳 정보 제공
중소기업 118곳 원산지 관리능력↑ 지원
산·관·학 파트너십… 中 통관 애로 해결
비관세장벽 철저한 사전 정보수집·분석
전자상거래 시장 집중공략 필요성 증대
한·중 FTA 발효 1년 동안 인천의 무역거점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19일 인천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0일 한·중 FTA가 발효된 이후 지역 내 대(對)중국 수출기업 1천580개가 한중FTA 정보를 활용하거나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받았다.
또 자금과 인력이 열악한 중소기업 118개는 세관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 획득, 원산지증명서 발급, 원산지관리시스템 구축 등 원산지 관리능력을 키웠다.
인천시와 경기도, 인하대학교,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인천상공회의소, 인천본부세관 등은 FTA 활용 지원 산·관·학 파트너쉽을 구축해 지역 내 기업을 대상으로 FTA 교육, FTA 전문인력 양성, 일자리 매칭 사업 등을 실시했다. 15건의 수출기업 현지 중국통관 애로사항을 해결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對)중국 수출업체들과 전문가들은 한중FTA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복잡한 원산지증명절차를 간소화하는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상시적인 FTA 교육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이날 인천본부세관 주최로 열린 ‘한중FTA 발효 1주년 기념 중국전문가 초청 세미나’에서 이창선 한국무역협회 차이나데스크 실장은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 진출에 성공하려고 중국 시장에 대한 전략적 접근과 다양한 방식으로 제기되는 중국의 비관세장벽에 대한 철저한 사전 정보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며 “중국의 복잡하고 다양한 관세율 체계와 일관성 없는 통관행정, 불합격 판정이 느는 인증장벽 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특히 “정보력이 부족한 중소 무역업체를 위해 무역유관기관이 생산하는 중국 관련 정보를 상시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등 온라인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 인천본부세관 관계자는 “최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세계 경제의 침체로 대외 수출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한·중 FTA가 인천지역 중소 수출기업의 수출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