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재개발 실패한 구도심, 주거환경 개선도 지지부진

재개발사업 백지화 이어 저층주거지 관리사업도 표류
배다리 구역·학골마을·석정마을 등
市, 관련예산 모두 삭감 용역 올스톱

인천지역 내 재개발사업이 진행되다 백지화된 구도심을 상대로 추진하던 원도심 저층주거지 관리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총사업비 837억원을 들여 지역 내 8개 구와 함께 총 21개 구역에 대한 원도심 저충주거지 관리사업을 벌이고 있다.

 

재개발 등 정비구역이 해제된 곳에 있는 각종 노후주택 등이 밀접한 이들 원도심에 도로나 폐쇄회로(CC)TV 등 정비기반시설을 설치하고, 마을회관 등 공동이용시설을 설치해 주거환경을 개선하자는 취지다.

 

그러나 상당수 구역에서 예산 부족과 지자체의 무관심 등으로 사업 추진이 아예 멈춰 섰거나 진행이 더디다.

 

지난 2013년에 지정된 8곳의 구역 중 서구의 천마산거북이 구역만 사업이 끝났을 뿐, 3년여가 다 지나도록 여전히 많은 구역의 사업이 진행 중이다. 동구의 박문마을 구역은 확보된 18억원의 예산 중 집행률이 28%에 불과하고, 부평구의 삼산2 구역도 19억8천만원의 예산 중 36%만 집행됐다.

 

2014년에 추가로 지정된 13개 구역 중 동구의 배다리 구역과 남구의 학골마을·석정마을·제물포북부역 구역, 계양구의 계양문화회관 동측 구역 등은 아예 지정 이후 중단됐다.

지난해부터 시가 관련 예산을 모두 삭감하면서 관련 용역 등도 모두 멈춰 섰기 때문이다. 이후 시는 특별조정교부금으로 관련 예산을 구에 지원하고 있지만, 이미 동력을 잃어 지자체들도 저층주거지 사업 대신 자체 사업을 추진하며 거부하고 있다.

 

남구의 경우 이미 석정마을은 자체적으로 한국토지주택(LH)공사와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추진키로 했고, 학골마을은 아예 주민끼리 모여 다시 정비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구에서 저층주거지 사업을 추진하며 예산을 요청하면, 심의 등을 거쳐 반영하고 있다”면서 “일부 구에서 사업에 무관심한 부분이 있다. 구와 논의해 적극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