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3, 역사·문화 어우러진 특화공간 변신

문화재 현상변경 통과… 내년 상반기 공사 재개
LH, 융·건릉·용주사 고려 한옥마을·호텔 등 추진

2006년 이후 10년간 개발이 멈추면서 황무지로 방치됐던 화성 태안3지구가 역사와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특화공간으로 재탄생한다.

 

15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10년 넘게 장기 표류하던 화성 태안3지구 택지개발사업이 문화재청의 문화재 현상변경 재심의를 통과함으로써 내년 상반기 본격 공사에 들어갈 전망이다.

 

LH는 융·건릉과 용주사, 만년제 등 주변 문화재와 자연환경을 고려해 사업지를 역사와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융·건릉과 용주사를 연결하는 옛길을 그대로 보존하고 한옥마을을 짓는 한편 역사·문화 관광지역으로 육성을 위한 한옥호텔도 건설한다. 특히 한옥마을은 사업지 북측 단독주택 용지 2만9천여㎡에 100가구 규모로 조성될 것으로 전해졌다. 

LH는 개발계획 변경승인이 늦어지면서 계획 일정이 다소 미뤄졌지만, 내년 상반기에 공사를 시작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H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문화재위원회가 앞선 심의에서 수정·보완을 요구한 사항을 이번 변경에 반영했다”며 “태안3지구를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삶의 터전으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화성 태안3지구는 화성시 태안읍 송산ㆍ안녕리 일대 118만㎡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지난 1998년 5월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됐다. 

그러나 정조대왕 초장지의 재실터와 건물지가 발견되고 인근에 사적 206호 융ㆍ건릉, 국보 제120호 범종이 있는 용주사, 정조가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축조한 만년제(도지정문화제 제161호) 등이 있어 학계 및 불교계로부터 거센 반발에 부딪혀 2006년부터 사실상 공사가 중단됐다. 

그러다 지난 5월 LH 경기지역본부가 용주사 등과 합의하면서 급물살을 탔고 이번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면서 개발에 본격 시동을 걸게 됐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