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인천본부 9월 현재
비은행권 가계대출 크게 늘어
금리↑ 이자부담 부실화 우려
올해 들어 인천지역 금융기관에 대한 시민들의 가계대출이 급증해 주의가 요구된다.
10일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발표한 ‘인천경제리뷰-최근 인천지역 가계대출 급증 배경과 시사점’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가계대출은 2014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뒤 올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올해 9월 말 현재 인천지역 예금 취급기관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보다 13.3%나 증가한 48조4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은행 가계대출이 35조7천억 원, 비은행 가계대출은 12조6천억 원이다.
특히 비은행 금융기관 가계대출은 2014년 3.6%, 지난해 6.1%에서 올해 19.0%로 급증했다.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34조7천억 원으로 81.9%를 차지한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급증한 이유는 2014년부터 지역 부동산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며 주택담보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인천은 송도·영종·청라 등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로 인구 유입이 늘며 주택담보대출도 함께 늘었다.
2013년 말 5천275호 수준이던 미분양주택 수는 지난해 대규모 분양에도 불구하고 올해 10월 말 2천830호로 줄어 20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금리 인상이다.
한은 인천본부는 ‘국내 금리가 오르면, 과다 채무가구의 부실화와 소비 부진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또 가계의 자금 조달 여건은 당분간 악화될 것으로 보고, 경제 주체별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주의를 주었다.
한은 인천본부 관계자는 “가계는 소득과 상환능력을 고려해 과도한 차입을 자제하고, 대출 시 금리가 오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고수익을 누리는 부동산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기관은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대출조건을 상세히 설명해 고객의 소득과 상환능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라며 “지자체와 금융당국도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해 가계 또는 금융기관 부실 가능성을 조기 포착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