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청년들이 행복해지는 행복주택

행복의 기준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즐거운 순간이 반복되는 것을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쾌락주의자의 행복도 있다. 목표 성취감을 행복이라고 여기는 사람도 있다. 평정심을 잃지 않는 것을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가족이 잘 지내는 것’에 만족하는 행복도 있다. 행복이란 ‘만족과 즐거움을 느끼는 상태’라고 종합적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전국에서 행복주택에 대한 인기가 뜨겁다. LH공사가 인천지역에서 처음 공급한 주안역 인근 140호는 지난 3월 30일 공급 공고하여 14대 1이라는 높은 청약률을 기록했다. 전체 물량의 80%를 대학생·사회초년생에게, 나머지는 고령자와 주거급여대상자에게 공급했다. 

16㎡형은 보증금 1천264만원6만4천원(보증금월 임대료)을 기본으로 한다. 주거급여수급자에게 공급하는 29㎡형은 1천971만원10만원이 기본이다. 주안역은 기존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지난 7월 30일 개통한 인천지하철 2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활기가 가득 찬 곳이다. 

LH공사는 서울과 인접하여 교통여건이 우수한 고양삼송지구, 출판인들과 산업단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파주출판단지에서 연이어 행복주택을 공급한 결과 높은 청약률로 마감했다. 고양삼송지구는 21㎡, 26㎡ 및 36㎡형 등 3개 타입 832호를 공급하여 12월 중 입주한다.

 

‘행복주택’은 여러 가지 역경을 겪고 있는 청년세대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해 출시된 공공임대주택 브랜드이다. 정부(LH공사)나 지자체가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곳에 건설하여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젊은 층에게 인근 시세보다 20∼40% 저렴한 임대료로 최장 10년까지 거주 가능하도록 공급하는 것이다. 

2015년 10월 시범사업으로 첫 입주한 서울 송파삼전 행복주택은 기존 노후 단독주택 6개동을 헐고 1개동 40호로 재건축하여 대단한 환영을 받았다. 대학생들을 위한 스터디룸을 비롯한 게스트하우스, 주민카페, 무인택배시스템을 갖추어 놓았다. 20㎡형 기준으로 3천162만원16만3천원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행복주택 주민공동시설은 다양한 주거복지서비스와 커뮤니티 활동 지원이 가능하도록 1인가구에 빌트인 설치, 무인택배보관함, 무선와이파이(주민공동시설 구역에 설치) 설비를 필수적으로 갖추도록 했다. 올 연말부터는 공급물량을 대폭 확대하고 입주자격을 완화하여 청년 창업인·프리랜서·예술인 등도 입주가 가능하도록 했다.

 

지난 4월 25일 청약 마감한 서울 가좌역지구 16㎡형 사회초년생 우선공급분은 304대 1이라는 경이적인 청약률을 기록했다.

 

행복주택은 청년인구 유출을 막고 노후화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어 현재 각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인천은 기존 주안역 등의 성공에 힘입어 12월 중 인천서창2지구에서 680호를 공급한다.

아픈 청춘’을 딛고 일어서려는 씩씩한 젊은이들에게 행복의 출발점을 제공하는 행복주택, LH공사 보람의 원천이다. 필자도 장성한 아들이 행복주택에서 행복한 꿈을 꿀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다.

 

조명현 LH인천지역본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