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직격탄 ‘창조경제센터’ 쑥대밭… ‘스타트업’ 위기

기업들 “벤처·창업정신은 이어져야”
국회 예산 삭감땐 관련사업 빨간불
벤처 육성·지원 시스템 붕괴 우려도
市, 내년 사업축소 불가피 전전긍긍

“창조경제센터 덕분에 지금까지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 시국과는 상관없이 벤처·스타트업 기업 육성은 꾸준히 이어져야 합니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가 ‘최순실 게이트’ 때문에 불똥을 맞고 있다.

 

지난해 센터장 공모는 1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현 센터장을 포함해 2명만 응모했다.

 

국회에서 내년예산이 삭감될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인천센터는 현재까지 국비 38억6천만 원과 시비 10억 원을 받아 창업 기업들을 지원했다.

 

스마트물류 벤처 육성사업으로 총 21개사를 지원해 이 중 8곳이 올 상반기에만 11억3천만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또 다양한 분야의 경영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 지난 6월 말까지 1천17건의 상담 실적을 제공했다.

 

특히 ‘6개월 챌린지 플랫폼’ 사업은 지난해 6개 스타트업을 뽑는데 58개 업체가 몰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하지만, 한 스타트업 기업과 홈페이지 구축 과정에서 최순실 게이트와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 야당 국회의원들은 “내년도 예산을 삭감하겠다”며 벼르고 있다.

 

국비 예산이 축소되면 스타트업 기업 육성 정책이 좌초될 가능성이 크다.

인천센터의 지원을 받아 제품 상업화에 성공했거나, 센터가 관리 중인 보육기업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인천센터 입주기업 출신 기업의 한 대표는 “아이디어만 갖고 시작해 센터의 도움으로 이 자리까지 왔다”며 “벤처·창업기업 육성은 최순실 사태와 상관없이 쭉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내년도 인천센터 예산을 올해와 같은 10억 원으로 책정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에 어느 정도 사업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인천경제산업테크노파크 사업과 연계하는 대안 등으로 벤처·스타트업 육성은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와 전문가들도 ‘창조경제’ 용어와 간판은 바꾸더라도, 벤처·스타트업 육성사업은 꾸준히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이갑영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래 성장 동력과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10년 이상을 내다보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이제 막 자리 잡아 성과를 내기 시작하는 벤처·스타트업 정책만큼은 보완해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