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MRO 단지 조성사업 걸림돌 사라질까 관심집중

중앙정부의 반대로 주춤하는 인천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한발 나아갈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인천 MRO단지 육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지난 14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토부 국정감사에서는 항공MRO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국토부는 지난 2010년부터 지역공항 균형발전 차원에서 청주공항이나 사천공항에 국가 항공MRO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청주공항 항공(MRO) 산업단지는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8월 최종적으로 사업을 포기하면서 무산되기도 했다.

 

강 장관은 이날 국감에서 “복수의 경쟁력 있는 산업이 있다면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검토하겠지만, 지금은 어떻게든 경쟁력 있는 한군데라도 육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언급했다.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항공MRO 단지에서 배제했던 인천을 등한시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강 장관은 또 “인천국제공항에는 지난해부터 격납고를 포함해서 저가항공사(LCC) 공용정비고를 조성하고 있다. 올해 말 준공예정”이라면서 “그 외는 MRO산업에 적극적인 투자자가 나서면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현재 항공MRO 관련 현황을 살펴보면 인천공항 국제선 항공기의 경우 항공정비로 인한 결항률이 2011년 6.7%에서 2012년 8.7%, 2013년 8.4%, 2014년 17.8%, 지난해 26.1%로 증가하고 있다.

 

정비를 미루고 운항하는 ‘정비이월 비행’도 2014년 1만917건, 지난해 1만2천280건, 올해 8월 기준 9천670건으로 증가추세다.

 

이에 따라 인천 MRO단지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인천공항은 항공기 정비수요가 많고, 항공MRO 단지를 만들 수 있는 부지와 기반시설 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이학재 의원은 “항공MRO산업은 지방공항 활성화가 아닌 항공기 안전 운항의 관점으로 봐야하는 정책”이라며 “항공정비 수요가 가장 많은 인천공항에 MRO단지를 만들어 항공 안전성도 높이고, 국내 MRO산업도 활성화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