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재개발사업 자체 재원 투입 한계
주택도시기금 지원 여부도 불투명
수익성 어려움… 사업 주도권 ‘난색’
민간사업자 공모가 무산된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참여하는 공공개발로 전환되고 있지만(본보 9월30일자 3면) 산넘어 산이 될 전망이다.
민간사업자 공모가 무산된 가장 큰 이유인 사업성 부족이 공공개발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와 LH공사, 인천항만공사 등은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을 LH공사와 인천항만공사 주도의 공공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하지만 인천내항 재개발이 공공개발로 전환된다 하더라도 사업성 확보는 큰 숙제다.
LH가 재개발 사업에 자체 재원을 투입하기는 어렵다. LH는 이미 부채가 135조3천980억원에 달한다. 이 중 금융부채만 87조4천78억원이나 된다.
원도심 재개발 사업에 지원받을 수 있는 기금인 주택도시기금을 받으려고 해도 쉽지 않다. 기금 지원대상은 LH의 사업인정심사와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금융지원심사를 통과해야 하는데, 공공성과 실현가능성, 사업성 등이 기준이다.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은 비용대편익 분석(B/C)값이 기준치(1.0)를 밑도는 것으로 조사된 터라 주택도시기금을 투입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개항창조도시와 맞물려 있는 것도 호재가 될지 악재가 될지 미지수다. 시는 인천내항 8부두 일원에 개항창조도시 사업의 한 축인 상상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상상플랫폼은 교육·체험공간,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연구공간, 창업지원공간, 창의·실험상품 판매장 등으로 구성돼 있어서 수익성보다는 공익성에 중심을 둔 사업이다. 국비를 일부 지원받을 수 있지만 8부두 부지의 상당부분을 내줘야 하니 사업성을 높이는 데는 큰 도움이 안된다.
LH와 인천항만공사 중 사업의 주도권을 누가 쥘 것인가도 중요하다. 수익을 내기 어려운 사업이라 손실 등 위험분담을 어떻게 할 것인지 정해야 하는데 양쪽 다 적극적이지는 않다.
이와 관련 LH 측은 “인천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은 참여의향을 밝힌 상태일 뿐 구체적으로 협약을 체결하거나 논의한 사항은 없다”면서 “흐름을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