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SL)공사는 부서간 협업체계를 구축, 음폐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LNG와 혼합·연소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SL공사는 이를 통해 하수슬러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LNG(액화천연가스)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었다.
음폐수 바이오가스화시설은 지난 2012년부터 수도권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폐수(탈리액)를 적정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로,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자체 보일러 열원 및 악취방지시설과 연구사업 등에 이용하고 있다.
SL공사는 최근까지 하수슬러지 처리연료비용으로 연간 120억원 이상을 쏟아부으며 부담을 안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기술개발로 음폐수바이오가스 직접연료 활용사업이 완료돼 전체 LNG 사용량의 40%를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로 대체할 수 있고 연간 45억원의 연료비 절감과 온실가스 1만8천CO2t의 감축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됐다.
SL공사 관계자는 “LNG와 바이오가스를 혼합, 직접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은 국내 최초 기술”이라며 “이 기술을 특허출원을 하고 기술의 체계화를 통해 필요한 곳에 기술이전 및 정보공유로 친환경 상생모델을 만드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