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산하 공사·공단의 청년 일자리 창출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개 시 산하 공사·공단은 임금피크제를 통해 예산 증가 없이 청년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기로 했지만, 올해 실적 자체가 없거나 일부 부풀렸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청년고용촉진 특별법에 따라 인천도시공사, 인천관광공사, 인천교통공사, 인천시 시설관리공단, 인천환경공단 등 5개 시 산하 공사·공단은 정원의 3% 이상을 매년 청년으로 고용해야 한다.
시가 추진하는 청년고용 의무제는 임금피크제와 연계해 퇴직 전 3년동안 직원의 임금 일부를 삭감(1·2·3년차 각 10%씩)한 재원으로 청년을 추가 채용하는 즉 예산 증가없이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 산하 5개 공사·공단의 총 정원은 2천305명으로 올해 69명 이상을 청년으로 고용해야 한다.
그러나 정원이 299명인 인천도시공사는 올해 9명의 청년을 의무 고용해야 하지만 실제 고용한 청년은 단 한 명도 없었다. 96명 정원인 인천관광공사도 올해 신규로 청년을 채용한 실적은 없다.
특히 정원이 1천164명인 인천교통공사는 올해 237개의 청년 일자리를 신규 창출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이미 계획된 채용이었고 올해 10명 이상을 채용해야 하는 시설관리공단도 17명을 채용했지만, 이 역시 경기장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인력 등을 충원시킨 것에 불과하다.
결국 교통공사와 시설관리공단의 올해 청년고용 실적은 청년고용 의무제 시행에 따른 것은 아닌 셈이다.
또 시가 중소기업에 대한 인건비 지원으로 정규직 전환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 차별화 사업도 실적이 ‘제로’다. 시는 8대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모두 100명에 대해 매월 50만원씩 3개월간 지원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지원을 신청한 중소기업은 현재까지 없다.
시 관계자는 “과도한 부채로 구조조정을 하는 인천도시공사와 지난해 도시공사에서 독립해 재출범한 인천관광공사의 청년고용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내년 시 산하 공사·공단에 대해 청년고용을 독려해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