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물류대란’ 인천항은 ‘무풍지대’

市,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 대책 논의
7월 기준 전체 물동량의 1.56% 불과
물류 공백·수출입 악영향 거의 없어
정부·한진그룹 2천억원±a 긴급수혈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가 인천항 화물정기항로의 서비스와 전체물동량에 끼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6일 오전 유정복 시장 주재로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한진해운과 관련한 인천항의 영향과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시 해양항공국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개시(9월1일)에 따른 인천항 영향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번 사태가 인천항을 통한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인천항의 한진해운에 대한 전체물동량 대비 의존비중은 올해 7월까지 1.56%에 그치고 있다. 인천항은 고려해운(16%)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고 흥아해운(7.5%), 위동항운(6.5%) 등 순으로 중소형 선사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다.

 

한진해운의 인천항을 통한 항로는 기존의 중국 다롄(大連), 싱가포르와 올 4월 신설된 홍콩, 베트남 하이퐁 등 4곳에 불과하다. 한진해운 지난해 인천항~다롄·싱가포르 항로로 운반한 물동량은 4만1997TEU인데 이는 인천항 전체 238만TEU의 1.8%에 불과하다. 올해 7월까지는 더 떨어져 1.56%에 머물렀다.

 

게다가 한진해운은 단독 운항이 없었던 터라 물동량 감소는 거의 없을 전망이다.공동운항 선사 및 타 선사의 참여로 서비스 중지 사태는 발생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한진해운은 다롄·싱가포르 항로는 흥아해운과, 홍콩·하이퐁 항로는 장금상선과 각각 공동운항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선 한진해운 사태에 따른 물류 공백이 거의 없어 보이지만 해수부 및 해수청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해 상황을 예시 주시할 것”이라며“그러나 선사의 선대 부입이 지연될 경우 약간의 운항 횟수 감소는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한진그룹은 이날 대책회의를 열고 조양호 회장의 사재 400억원을 비롯해 총 1000억원의 자금을 한진해운에 지원키로 했으며 정부와 여당은 조 회장과 한진측의 담보제공을 전제로 1000억원±a(알파)의 장기저리자금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항저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 수행에 나선 유일호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5일 밤(현지시간) 현지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만나 “압류금지 조치가 발효되는대로 해당 항만을 거점 항만으로 지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한진해운 선박을 가능한 한 거점항만으로 입항토록 하고, 화물의 하역 및 환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43개국 법원에 압류금지 신청을 할 계획이다. 압류금지가 발효되면 항만 입출항 및 하역이 가능하고, 미불금에 대한 지불유예가 허용된다. 정부는 지난 2일 미국에 압류금지신청을 한데 이어 이번 주중 독일, 영국, 일본, 싱가포르 등 10개국에 신청할 계획이다.

 

김신호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