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견인 ‘가구·주물산업’ SOS… 응답없는 인천시

인천지역 제조업 성장을 이끌었던 가구산업과 주물산업이 해가 갈수록 지역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업체들은 애로사항을 해결해 달라며 수년째 인천시에 요구하고 있지만, 시는 요지부동이다.

 

지역경제계에 따르면 인천지역 가구산업은 서구를 중심으로 발전해 국내 가구산업의 메카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원부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글로벌 업체의 국내 진출 등으로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가구 제조업체는 778곳, 종사자수는 6천620명이고 인천에 본사·본점을 둔 업체는 고작 19곳에 불과하다.

 

매출액으로 따져봐도 국내 10위 안에 드는 업체는 단 한 곳뿐이다.

지역 가구업체들은 수년 전부터 가구산업 육성 조례 제정과 협동화 가구단지 조성 등을 시에 요청하고 있지만 감감무소식이다.

 

때문에 인천 가구업체들은 지원 조례와 가구산업 클러스터가 갖춰진 경기도로 하나둘씩 떠나고 있다.

 

박미설 인천가구협동조합 이사장은 “인천에 본사를 둔 업체들의 제품을 쓰도록 독려만 해 줘도 도움이 되는데, 별 관심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내 최초 주물전용단지와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조성의 모태가 됐던 주물공장들은 현재 퇴출 위기에 놓였다.

 

시가 지난 2007년 친환경산단을 만들겠다며 고시한 ‘산업단지 관리 기본계획 변경(안)’에서 기존 주물공장 소유자끼리 공장을 사고 파는 것조차 금지한 것이다.

 

이에 주물공장들은 가업 승계를 하지 않으면 친환경 업체에 부지만 헐값에 팔고 이전하던지, 문을 닫는 수밖에 없다.

 

1983년 44개 업체가 인천에서 시작했지만, 현재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에 등록된 주물공장 26곳 중 19곳만 가동하고 있다.

 

경인주물공단조합 관계자는 “요즘은 환경 관련 법을 잘 지켜 지역 민원도 많이 줄어들었다”며 “공장 수를 더 늘려달라는 게 아니라 있는 공장이라도 사고 팔 수 있게 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2007년에 이미 서부산단을 친환경 산단으로 바꾸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친환경이 아닌 업종은 자연스럽게 소멸되는 것이 정책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