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지적에… 신설역사 27곳 장애인들 직접 이동하며 확인
인천지하철 2호선에 장애인 등 교통약자 편의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자(본보 7월 29일자 1면) 인천시가 편의시설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1일 시에 따르면 이날부터 오는 5일까지 5일간 인천 2호선 신설역사 27곳을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적정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이 실시된다.
시는 인천지역 지체장애인협회와 장애인편의시설 지원센터 등 2개 기관과 함께 장애인들이 실제로 역사 내 이동과정에서 불편함이 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예정이다. 모니터링에는 편의시설 지원센터 직원, 시민촉진단 명예요원이 참여한다.
시는 현장 점검단이 작성한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점검 대상시설을 확인해 운영사인 인천교통공사 측에 협조를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경미한 사항은 현지에서 직접 시행하고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사항은 해당 관리부서에 개선 의견을 전달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번 모니터링에는 정작 전동차 내부 개선사항이 빠져있어 알맹이 없는 대책이라는 불만도 제기된다. 인천2호선 전동차 내 장애인석은 노약자석 의자를 들어내 공간을 만든 인천1호선 전동차와 달리 가로형 안전바가 설치되지 않은데다 안전시설로 설치된 비상벨과 휠체어 안전벨트가 휠체어 탑승객 혼자 작동하기 어려워 실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인천지역 장애인단체 소속 회원 일부는 지난달 29일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식 자리에서 인천2호선 안전대책이 부실하다며 대책을 요구하는 기습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 2호선 역사 내에는 타 지하철에 없는 교통약자 시설도 설치되는 등 진일보된 시설도 갖추고 있다”며 “잘 된 점과 부족한 점을 동시에 확인해 교통약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안내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유정복 시장은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인천2호선 운행 및 버스노선 개편에 따른 안전과 시민편의를 위한 철저한 후속조치를 취할 것을 강조했다. 유 시장은 “시민,특히 장애인들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천2호선 운행과 개편된 버스노선 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각 부서별로 철저히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30일 27개역 29.2㎞ 구간 전면개통된 인천 2호선은 주말인 30·31일간 18만5천495명이 이용, 1일 수송예측치에 근접했으며 개통 첫날인 30일 이후 특별한 운행장애 없이 정상 운행 중이다. 지난 주말 가장 많은 이용객이 몰린 곳은 검단사거리역으로 6천120명이며, 모래내시장역(5천736명), 주안역(5천237명)이 뒤를 이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