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프로젝트 핵심사업 한달만에 변경
업체들 “산단 먼저 개선돼야 취업” 비판
인천시가 국비를 지원받아 추진하는 인천혁신프로젝트의 핵심이 ‘남동산단 고용환경 개선사업’에서 ‘청년 취업사업’으로 바뀌었다.이에 남동산단 입주업체들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인천혁신프로젝트는 고용노동부에서 국비를 지원받아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인천지역 고용혁신 프로젝트 사업이다.인천의 경우 국비대 시비 7대3으로 약 9억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인천시와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원래 시는 지역 대표 산업단지인 남동산단 문제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남동산단 신규 고용 사업장 복지 포인트 지원, 동종 산업 소모임 지원, 남동산단 이주 기업 임차료 지원 등의 계획을 지난달 제출했다.
남동산단은 현재 7천400여 곳의 제조업체들이 입주해 있으며, 이 가운데 50인 미만 기업은 6천500여 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만 대법원 기업 회생·파산 공고에 등록된 남동산단 기업은 12곳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그러나 고용노동부가 사업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혁신단이 제출한 1차 서류를 보류했다.
이에 시는 사업계획을 전면 수정한 뒤 18일 다시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추진단이 제출한 안은 대학 졸업생 및 특성화고 대상 고용센터 설립, 창업 연계 프로그램 지원, 벤처기업 채용 지원 등이다.
불과 한 달만에 ‘남동산단 고용환경 개선’에서 ‘청년 취업’으로 사업계획이 모두 뒤바뀐 것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심사과정에서 고용환경 개선 대책들이 일자리 창출과 목적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 계획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동부가 요구하는 청년 취업 대책에 대해 지역 현실과는 동떨어진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남동산단의 한 제조업체 대표는 “제조업은 설비를 현대화해야 제품 경쟁력이 생기고, 매출 신장이 신규 고용으로 이어진다”며 “청년 취업을 지원해 봤자 회사가 어려운데 누가 사람을 새로 뽑으려고 하겠냐”고 지적했다.
이어 “남동산단 입주기업들의 건의사항을 정책으로 만들었는데,인천지역 취업을 유도할 수 있는 지원책도 없어져 아쉬울 따름”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남동산단 지원사업을 제외하라는 얘기가 아니라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이라는 취지와 맞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며 “이제 2차 서류 접수가 끝난 상태라 아직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