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갑작스런 맞춤형 보육 시행으로 인천지역 어린이집들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찬반투표를 시행하는 등 반발 조짐이 일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0~2살 자녀를 둔 전업주부와 육아휴직자는 어린이집을 오전 9시~오후 3시까지 하루 6시간만 이용하고 이외엔 긴급보육바우처(월 15시간)를 쓰도록 하는 내용의 맞춤형 보육제도를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키로 했다.
그러나 일선 어린이집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맞춤형 보육 시행으로 어린이집들은 올 초 계획한 교육 프로그램을 상당수 포기해야 하며, 이에 따른 외부강사와의 계약 파기에 따른 부담, 지원금 저하로 인한 보육교사 급여 하락, 또 이에 따른 보육의 질 저하 등 부작용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현재 지역 내 상당수 어린이집은 현재 학부모 대상 맞춤형 보육제도에 대한 찬·반 투표를 시행하는 등 강력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한 어린이집 원장은 “맞춤형 보육제도가 성급히 시행되면서 문제가 많다. 우리나 부모들 모두 너무 혼란스러워 한다”면서 “자칫 시행했다가 원아들이 떨어져 나가고 어린이집은 문을 닫게 되는 상황까지 벌어지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학부모들의 반발도 거세, 어린이집과 학부모의 연계 집단 반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학부모들은 한 달 평균 20일에 달하는 등원일수를 계산해볼 때 5시간의 공백이 생기는 것은 물론, 종일반일 때와 달리 특별활동 등의 수업을 받을 수 없어 학부모들이 반기를 들고 있다.
또 육아와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가사에 힘을 보태던 엄마들도 전업주부로 분류, 아이를 종일반에 맡기지도 못하게 되는 등 학부모들은 ‘현실과 맞지 않는 정책’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더욱이 인천은 지난 2014년 시간제 보육으로 시작해 지난해엔 맞춤형 보육 시범사업까지 진행되는 등 매년 바뀌는 보육 정책에 학부모들이 새로운 제도에 강한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이재오 인천어린이집연합회 회장은 “인천뿐만 아니라 타지역 어린이집연합회와도 교류를 갖고 반대 운동에 동참할 계획”이라며 “다음주 중 인천시청을 방문,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입장을 표명하는 등 뜻이 전달될 때까지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