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경쟁력… 공사 수주율 ‘바닥’

서울·경기 업체들과 경쟁서 밀리며 원하도급 실적 저조
국가 공기업 발주 공사는 더 떨어져 전국 최하위 수준
자재 사용·인력 참여율도 감소 지역경제 악영향 우려도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의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원ㆍ하도급 공사 수주율도 바닥을 치고 있다.

 

이 같은 저조한 공사 수주는 일자리와 자재 매출 감소로 이어지며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1일 인천시와 지역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이 서울과 타 지역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인천에서 발주되는 공사 수주에서조차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지역 A건설사는 올해 초 대형 건설사가 시공하는 민간 아파트 공사의 공동 시공 수주 경쟁에 나섰지만, 경쟁사인 서울 B건설사의 기술력과 공사 실적 등에 밀려 수주에 실패했다.

 

A건설사는 건축주의 허락 하에 공동 시공을 수주한 B건설사의 하도급 계약까지 추진했지만 B건설사가 터무니 없이 낮은 공사비를 제시하는 바람에 이마저도 포기했다.

 

또 인천 C전문건설업체는 경기도 건설사가 인천에서 수주한 지반개량공사의 하도급 공사 계약을 추진했지만 경쟁사인 타 지역 하도급 건설사의 시공 능력에 밀려 좌절됐다.

 

이 같은 지역업체의 공사 수주 부진 현상은 국가 공기업 발주공사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가 공기업이 인천지역에서 발주한 원도급과 하도급률은 각각 19.7%, 9.8%로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시 산하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의 지역업체 원도급률은 97.4%인데 반해 국가 공기업 공사의 원도급률은 19.7%에 그쳤다.

 

시 산하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의 지역업체 하도급률은 87.3%이지만, 국가 공기업 공사가 발주한 공사의 지역업체 하도급률은 9.8%로 바닥을 면치 못했다.

 

특히 국가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의 원도급률에 비해 하도급률이 10% 가까이 낮다. 원도급을 수주한 인천지역 원도급 건설사 조차 타지역 전문건설 업체에 하도급을 주는 셈이다.

 

국가 공기업이 발주한 대규모 공사의 경우 지역의무공동도급 대상(245억원 미만)이 아닌 관계로 타지역 업체와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서 인천지역 건설업체는 대규모 공사 수주를 위한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는 처지다.

 

이처럼 지역업체들이 공사수주에 허덕이면서 자본금 잠식 등으로 등록에 말소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5월말 현재 인천지역 종합건설업체 11개와 전문건설업체 65개가 건설업 등록기준 미달(자본금, 기술력), 건설업 등록증 불법 대여 적발 등으로 등록이 말소됐다.

 

인천에서 공사를 하면서 지역 자재를 사용하는 비율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가 공기업 발주 공사에 대한 지역자채 사용률은 36.3%에 불과했고, 지역인력 참여율도 43.6%에 머물렀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광역시회 관계자는 “대형건설사 들이 인천에서 공사를 하면서 기존 협력업체에 우선적으로 하도급을 주고 있다”며 “규모면에서 월등한 서울, 경기 등 업체와의 경쟁력에서 고전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역업체 스스로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며 “합동 세일즈단을 구성해 발주처 방문 등 지역업체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행정적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