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원도심-신도심 학교 이전재배치 학부모 반발 현실화

인천시교육청이 학생 수가 감소하는 구도심 학교를 학생 수가 급증하는 신도심으로 이전 재배치하는 계획(본보 4월 28일 자 1면)이 대상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여기에 해당 지역 시의원들도 반대여론에 가세하면서 관련 행정절차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시와 시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적정으로 승인된 서구 청라지구 경연초등학교, 남동구 서창3초등학교 건립을 두고 지역사회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 학교 신설로 폐교될 처지에 놓인 서구 봉화초등학교와 남구 용정초등학교 학교 구성원의 반발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지난해부터 학교 신설이 아닌 이전 재배치로 가닥을 잡았음에도 이를 학부모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애초부터 논란을 자초했다. 봉화초의 한 학부모는 “학교에서 지난 4일 학부모 운영위원을 갑자기 소집해 폐교사실을 알렸다”며 “지난해 말부터 아이가 학교가 폐교된다는 이야기를 하고 다녔는데, 오래전에 결정된 사실을 통보하듯 알리는 것이 어디 있느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서구와 남구지역 주민들은 최근 시교육청 홈페이지에 학교 폐교가 부당하다며 항의 글을 게시하거나 시교육청을 항의 방문하는 등 반대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지학 봉화초등학교 폐교 이전 반대위원장은 “봉화초교 이전에 반대하는 현수막을 지역 곳곳에 게시하고 폐교 반대 서명을 받는 등 주민들의 뜻을 명확히 시교육청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해당 지역 시의원들도 반대여론에 가세하면서 관련 행정절차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우려된다. 석남, 가좌동이 지역구인 박승희 시의원(새·서구 5)은 17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봉화초교 이전 반대를 주장할 예정이다. 박 의원은 “심의과정에서 학교 이전안을 부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지역주민의 반발에 시교육청은 난감한 입장이다. 인천뿐 아니라 전국적인 학령인구 감소 속에 교육부가 학교 신설안을 받아주지 않다 보니 다른 선택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학교 폐교 후 신설안을 두고 지역사회 찬반논란이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설 학교 개교일인 오는 2019년까지 관련 절차가 진행되지 못하면 신설 초등학교에 등교해야 할 학생들의 피해가 커진다. 또 용정초와 봉화초 등 2개 학교의 폐교가 기정사실로 되면서 당장 내년 입학생 급감으로 학교운영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이전 재배치는 적정규모 학교 유지로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해명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