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가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 공모에서 탈락해 책임론이 불거지는 등 갈등이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3일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이하 프라임 사업)’ 선정 대학 21개교(대형 9개교, 소형 12개교)를 발표했다.
프라임 사업이란 산업수요에 맞춰 대학 전공별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 구조조정 사업이다.
연간 150억 원씩 3년 동안 총 450억 원을 지원받는 ‘대형’에는 건국대, 경운대, 동의대, 숙명여대, 순천향대, 영남대, 원광대, 인제대, 한양대(에리카)가 선정됐다. 또 연간 50억 원씩 3년 동안 150억 원을 지원받는 ‘소형’에는 성신여대, 이화여대, 경북대, 대구한의대, 한동대, 동명대, 신라대, 건양대, 상명대(천안), 군산대, 동신대, 호남대가 선정됐다.
‘대형’에 지원했던 인하대는 고배를 마셨다. 인하대는 팽팽했던 찬반여론에도 불구하고 단과대학 구조조정 계획을 세우고 프라임 사업 공모를 강행했다. 450억 원에 달하는 지원금이 학교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그러나 막판까지도 구조조정 대상 단과대학이나 학생회 등 학생단체의 반대가 거셌다.
결국, 프라임사업 공모가 수포로 돌아가면서 학교 내에서는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프라임사업 평가 항목에는 내부 구성원 합의가 포함돼 있다. 프라임 사업에 찬성했던 측은 프라임 사업에 반대하며 집회, 단식농성 등을 벌인 총학생회 등에 책임을 돌리고 있다. 대외적으로 반대의견을 표출해 공모 평가에 악영향을 줬다는 이유에서다.
인하대 학생 A씨는 “프라임 사업 탈락은 총학생회가 책임져야 한다”며 “총학을 탄핵할 수 있도록 총대의장에게 경고발부를 요청하는 ‘공동청원’을 진행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하루 동안 공동청원에 50명이 넘는 학생이 참여했다.
반면, 프라임 사업에 반대했던 측은 학교가 내부 구성원 합의 없이 단과대학 구조조정을 강행했기 때문이라고 날을 세우고 있다.
최순자 총장은 이날 공모 결과가 나온 뒤 내부 게시판에 “열심히 설계했던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지 못했다”며 “책임을 통감한다. 인하대 특성화 계획 및 정원조정 방안은 준비되는 대로 알리겠다”고 글을 올렸다.
이와 관련, 학교 측 관계자는 “프라임 사업으로 준비했던 계획안을 그대로 추진할지는 더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며 “프라임 사업에는 탈락했지만, 예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다른 사업을 찾아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