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상량식

내년말 개장… 최첨단 시설구비
연 7200만명떮580만t 화물 처리

제목 없-1 사본.jpg
제2여객터미널 마지막 뼈대 완성 인천공항 3단계 건설사업 핵심시설인 제2여객터미널의 마지막 뼈대를 완성하는 상량식이 26일 오후 제2여객터미널 건설부지에서 열리고 있다. 장용준기자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뼈대가 완성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6일 인천공항 3단계 건설현장에서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본보 오동근 인천본사 사장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여객터미널 상량식을 열었다.

 

상량식은 전통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대들보를 얹은 뒤 최상부인 마룻대를 올리는 의식으로, 건축물의 골격이 완성되는 마지막을 기념하는 행사다.

 

인천공항 3단계 건설은 제2여객터미널을 비롯해 교통센터, 진입도로와 같은 각종 공항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모두 4조 9천30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형공사다. 현재 종합 공정률은 약 57%다. 오는 연말까지 85% 공정률을 예정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내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종합시험운영을 거쳐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이전인 2017년 말 개장할 계획이다.

 

인천공항은 지난 2001년 3월 29일 개항 이후 이용객이 빠르게 증가해 지난 2008년 6월 탑승동과 제3활주로 등을 증설하는 2단계 건설사업을 완료했다. 제3단계는 2013년 제2여객터미널 신설을 핵심으로 시작됐다. 제3단계가 완공되면 인천공항의 이용객이 기존 5천400만 명 규모에서 7천200만 명으로 늘고, 화물처리량은 450만t에서 580만t으로 늘어난다.

 

특히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은 이동편의성 극대화, 시설집적화, 혼잡완화에 초점을 맞췄으며, 친환경·IT 기반 지능형 운영체제, 에너지절감 시스템 구축 등 첨단기술이 동원된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3단계 건설이 완료되면 인천공항은 연간 7천200만 명의 여객을 수용하는 대규모 최첨단 시설을 갖추게 된다”면서 “내년 말 제2여객터미널을 성공적으로 개항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신속성, 편의성을 확보하고, 세계 공항업계를 선도하는 공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미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