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사무국 인천, 선도적 역할론 제기

미국 뉴욕에서 175개국 대표가 모여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파리협정에 서명함에 따라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 도시인 인천의 선도적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온실가스 다량 배출시설인 발전소, 공항, 항만 등 국가기반시설이 있는 인천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배출권 거래제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 23일 뉴욕에서 175개국 대표가 모여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새 기후변화체제인 파리협정에 서명했다. 나라별로 비준이 처리되면 오는 2020년 발효되고, GCF 기금도 1천억 달러 이상 조성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 관련 각종 국제회의가 인천에서 열리는 등 국제적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시는 국가기반시설, 탄소배출권 할당 대상업체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의 탄소배출권 할당 대상업체에 포함된 시는 매년 온실가스 1만 8천t 이상을 초과 감축하고 있다. 모범적 감축을 통해 다른 대상업체의 자발적인 감축을 이끌어 내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활성화해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계획이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온실가스 배출량 중 80%가 국가기반시설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이들 시설은 중앙정부의 관리를 받고 있어 시는 권한이 없다. 더구나 시는 이들 시설 외에 환경부로부터 탄소배출권 할당 대상으로 지정된 20개(인천시 포함)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감축량을 관리해 성과를 이뤄내야 하지만 업체의 비협조로 지원사업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국가기반시설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계획이다”며 “이외 할당 대상업체에 대해서는 이달 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상호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