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180석까지 바라다 사실상 패배… ‘책임론’ 불가피
텃밭 호남 내준 더민주, 국민의당과 야권 주도권 다툼 예고
4ㆍ13 총선 결과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이 무너지면서 여소야대 형국이 이뤄진데다 국민의당이 제3당으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게 됨에 따라 혼돈의 정국이 예상된다.
여권에서는 이번 총선 실패의 책임론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김무성 대표 사퇴 이후 당분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야권에서는 수도권에서 다수의 의석을 확보한 더불어민주당과 호남 의석을 장악한 국민의당이 치열한 야권주도권 다툼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에서는 당초 180석까지 내다보면서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하는 한편 개헌 가능 의석까지 내다봤지만 수도권에서의 열세가 두드러지면서 사실상 참패에 가까운 성적을 거뒀다.
공천 과정에서 이른바 ‘옥새파동’까지 빚어지는 등 계파간 갈등이 극심하게 드러나면서 지지층의 이탈현상을 예측, 선거운동과정에서 읍소전략을 펴왔음에도 완패를 막지 못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과반 의석 달성에 실패함에 따라 2년도 남지 않은 박근혜 정부의 조기 레임덕 현상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들도 대거 치명상을 입었다.
김무성 대표는 당을 진두지휘한 입장에서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며 총선 기간 동안 차기 대권주자로 급부상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종로에서 낙선함에 따라 지지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차기 대권을 노리며 여권의 심장부인 대구의 수성갑 후보로 나선 김문수 전 경기지사의 경우 오히려 더민주 김부겸 후보에게 내주면서 야권의 차기 대권주자로 부상시켰줬다는 비판만 받게될 처지에 몰렸다.
더민주 입장에서는 당초 예상했던 107석을 뛰어넘은 성적을 거두면서 김종인 비대위 대표 체제의 경제민주화 정책 추진에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와 서울 등 인구가 밀집해 있는 수도권 중심부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면서 안정적인 제1야당 체제를 확고히 하게 됐다.
총선 기간동안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 정권에 대한 경제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워왔던 만큼 20대 국회에서 현 정권에 대한 견제를 강화할 태세다.
당초 100석 미만인 경우 정계 은퇴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 일었던 문재인 전 대표의 경우 이번 총선에서 예상외의 호성적을 거둠에 따라 차기 대권도전에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으며 107석 미만의 성적을 거두면 당을 떠나겠다던 김종인 대표도 안정적인 체제 구축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수도권과는 반대로 야권의 심장부라고 할 수 있는 호남을 대거 국민의당으로 내줌에 따라 야권 정체성을 놓고 야야(野野)대결이 불가피해졌다.
국민의당은 이번 총선결과를 바탕으로 새누리당과 더민주 양당체제의 현 정치권에 대한 심판론을 부각하는데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초 창당 이후 힘겹게 20명의 현역의원을 확보하면서 교섭단체를 구성했던 것과 달리 이번 총선을 통해 교섭단체 구성 요건을 훨씬 넘는 의석을 확보하면서 제3당으로서의 존재감이 더욱 강화됐다.
새누리당의 ‘야당 심판’, 더민주의 ‘경제 심판’에 맞서 ‘정치심판’을 전면에 내걸고 독자행보를 강조해왔던 안철수 대표도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성적을 거둠에 따라 차기 대망론에 동력을 얻게 됐다.
김재민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