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에 출사표를 던진 인천지역 후보 45명 중 20명이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4일과 25일 양일간 후보등록을 마감 결과 13개 선거구에 모두 45명이 등록해 평균 경쟁률 3.46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이들 후보 중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외 사회적 지탄을 받을 만한 전과를 가진 후보도 다수 포함됐다. A 후보는 특정경제범죄 가중 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횡령)으로 실형을 살았으며, B 후보는 두 차례에 걸쳐 농지법 위반으로 각각 300만 원의 벌금을 냈다. C 후보는 의료법 위반으로 100만 원의 벌금형을 받았고, D 후보는 사문서 위조 및 위조 사문서 행사 등으로 실형을 받기도 했다. 또 폐기물관리위반으로 벌금 100만 원 낸 E 후보, 건축법 위반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각각 300만 원을 벌금으로 낸 F 후보 등도 이번 총선에 후보로 등록했다.
새누리당은 13곳 모든 선거구에 후보 등록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의당과 후보 단일화 합의에 따라 정의당 소속 단일후보가 등록한 중동강화옹진과 남구을 등 2곳을 뺀 11곳에 후보를 냈다. 국민의당 12곳(남구갑 제외), 정의당 2곳, 민중연합당과 진리대한당 후보가 각각 1곳, 무소속 후보는 5명이 등록했다.
45명 후보의 총 재산은 1천759억 3천만 원에 달했다. 특히 부평갑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조진형 후보는 재산이 84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새누리당 조전혁 남동을 후보는 빚 10억 원을 신고해 가장 적었다. 연령대는 50대가 31명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으며, 60대 7명, 40대 5명, 30대와 70대 각 1명 등의 순이다. 최연소 후보는 39세의 새누리당 문대성 남동갑 후보, 최고령은 73세의 무소속 조진형 부평갑 후보이다. 여성 후보는 김정심(새·남구을), 안귀옥(국·남구을), 송기순(진·남동을) 등 3명이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공천 결과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지역, 야권단일화 지역 등 정당의 후보가 일부 바뀌었지만, 눈여겨 볼만한 새로운 인물이 많지 않다”며 “결국 인물론으로 이번 총선이 치러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