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소재 이틀 확인 안되면 경찰 수사 의뢰

교육부, 인천지역 미취학 초ㆍ중학생 309명 
미취학·장기결석 관리 강화

교육 당국이 미취학 및 무단결석 아동의 소재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등 관리 강화에 나선다.

 

교육부는 지난 18일 열린 제4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미취학 및 무단결석 등 관리·대응 매뉴얼 시행현황 및 향후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최근 초등학교장기결석 아동에 대한 감금 및 학대, 사망사건이 발생하면서 미취학 아동이 아동학대 사각에 놓였다는 우려가 커짐에 따른 조치다.

 

올해 인천지역 초등학교에 입학한 학생은 모두 2만 4천145명이며 미취학 아동은 291명이다. 미취학 아동 중 질병으로 인한 미취학 학생이 21명, 외국인학교 입학 32명, 해외출국 190명, 기타 48명 등으로 집계됐다. 중학교 미취학 학생은 모두 18명으로 질병 1명, 외국인학교 입학 10명, 해외출국 6명, 기타 1명 등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일선 시·도교육청에 전담기구를 두고 미취학 아동에 대해 매월 1회 이상 소재 및 안전을 확인하기로 했다. 소재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2일 차에 바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또 현재 취학·입학 후 관리가 이뤄지던 것을 예비소집단계부터 관리하는 것으로 강화하고 취·입학 유예자를 다음해 취학명부에 등재하도록 규정했다.

 

교육부는 또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유치원·어린이집 아동학대 조기발견 및 관리대응 매뉴얼을 다음 달 중으로 개발해 배포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매뉴얼을 교육현장에서 철저히 시행하고 부족한 점은 더욱 보완해 단 한 명의 아이도 놓치지 않고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