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급공사 발주 반토막… 억장 무너져”

작년 3조7051억→올해 1조9075억 인천 건설업체 200여곳 도산 위기
인력·건축자재시장 등 도미노 우려

인천지역의 올해 관급 건설공사 발주액이 지난해의 절반으로 줄면서 인천지역 건설업체가 고사위기를 맞고 있다.

 

이 같은 건설업계의 보릿고개는 인력시장과 건축자재, 장비, 현장 주변 소매점과 음식점 등 지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17일 인천시와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시를 비롯해 군·구, 경제자유구역청, 도시철도본부, 종합건설본부 등 공공기관의 건설공사 발주액은 1조 9천75억 6천720만 8천 원으로 지난해 3조 7천51억 3천901만 5천 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기관별로는 경제자유구역청(238억 원→121억 원), 종합건설본부(245억 원→141억 원), 한국토지주택공사(473억 원→277억 원), 학교 등 기타공공기관(207억 원→87억 원) 등의 건설공사 발주가 큰 폭으로 줄었다. 기반시설 조성을 담당하는 이들 기관의 발주액은 지난해의 60%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해 증설공사를 발주하지 못한 한국가스공사(563억 원→11억 원)와 3단계 발주가 끝난 인천국제공항공사(795억 원→66억 원) 등 정부 공공기관의 발주는 90% 이상씩 대폭 감소했다.

 

이로 인해 200여 곳의 인천지역 건설업체는 관급공사 발주 감소로 경영 악화가 극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부동산 침체로 민간 건설공사 발주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관급공사를 수주해 겨우 지탱해 온 지역업체들이 관급공사 발주물량이 반 토막 난 탓에 도산 위기까지 처한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은 ‘건설사 자금 사정 악화→하도급업체 결제 지연→납품업체 및 소모품 대금 미수→소매업·음식점 불황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지며 지역경제에까지 파장이 미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인천지회의 한 관계자는 “지역업체는 대부분 영세해 서울 등 규모가 큰 업체가 민간 건설공사를 독식하고 있다”며 “관급공사는 지역업체 의무비율 49%가 적용돼 겨우겨우 꾸려왔는데 올해는 이마저도 절반으로 줄어 존폐 위기에 놓인 업체가 많은 실정이다. 협회와 지역업체가 민간 건설사를 찾아 구걸하다시피 읍소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고 말했다.

 

정민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