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의회 “중·동·옹진 그대로 가야… 강화 합구에 반대”
‘분리·통합’ 앞둔 서구지역도 진통, 예비후보들 혼선 우려
제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이 임박해오자 인천지역 분리·통합 예정 선거구 예비후보들과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특히 중·동·옹진과 서구, 강화지역의 혼란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해당 지역 정치권들의 반발도 거세다.
중구의회는 24일 중구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동옹진 선거구 통합 또는 분리통합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구의회는 “선거를 50일 앞두고 선거구를 조정하는 것은 공직선거법 위반일 뿐만 아니라 행정구역, 지세, 교통, 인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한 법 취지에 어긋난다”며 “현실적으로 국회의원 1명이 중구, 동구, 옹진, 강화 4개 기초단체를 맡아 모든 지역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여력이 안된다. 주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중동옹진과 강화가 통합선거구로 되면 선거구 1개 면적이 인천의 69.18%인 723.78㎢에 이른다. 인천의 3분의 2가 넘는 면적을 국회의원 1명이 담당해야 한다.
중동옹진 지역 예비후보들의 반발도 비슷하다. 예비후보 A씨는 “재정자립도만 봐도 강화 11%, 옹진 8% 등 국비 의존도가 매우 높다”며 “그만큼 국회의원 역할이 크다는 것인데 단순히 인구 수만 따져서 졸속으로 선거구를 통합할 일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서구지역도 진통을 겪고 있다. 서구강화을 선거구에서 강화가 분리되면 서구갑과 서구을로 조정해야 한다. 경계에 있는 청라 1·2동이 유력한 조정대상이다.
하지만 선거구 획정이 지연되고 있는 탓에 예비후보들은 선거운동에 큰 혼선을 빚고 있다. 청라지역이 역대 선거에서 상대적으로 여권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정당별로 유·불리 따지기에 급급해하는 모습이다.
서구을 예비후보 B씨는 “선거구 조정이 아직도 오리무중이니 정책개발은커녕 유권자를 만나는 것도 어려움이 크다”며 “더구나 서구지역은 특정 정당 후보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된다는 소문까지 나돌아 지역 주민의 정치혐오마저 커지고 있다”고 불만을 표했다.
김미경·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