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선거구 어디로…·
표심결집·높은 투표율… 중·동구·옹진 선거전략 혼선 ‘반발 예고’
또 선거일을 불과 50일 앞두고 뒤늦게 선거구 획정 기준이 발표된 탓에 해당 지역 주민과 예비후보자들의 혼란과 반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화군 인구는 지난해 10월 기준 6만 7천533명으로 독자 선거구를 갖출 수 없지만, 농촌지역 특성상 표심 결집이 인천 도심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 인천지역 선거 판도를 가를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지난해 4월 29일 치러진 서강화을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강화군은 50.3%(2만 9천460표)의 투표율을 기록, 29.3%(3만 2천431표)를 기록한 서구 검단지역과 큰 격차를 보였다.
그러다 보니 새누리당 인천시당 내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야권 성향이 강한 계양을 선거구와 합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반해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자치구 시군 분할은 관련법과 맞지 않아 논의대로 중·동구·옹진군 선거구와 합쳐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일찌감치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표밭을 다져온 예비후보자들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새누리당 11명, 더불어민주당 2명, 국민의당 3명, 정의당 1명 등 무려 17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중·동구·옹진군 지역에서는 소송 제기 등 예비후보자들의 집단반발도 예상된다.
중구의회 소속 구의원들은 24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강화군이 중·동·옹진으로 합쳐지는 선거구 획정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이 같은 여야의 선거구 획정 유·불리 논의에 강화지역 주민들도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여야 모두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보다 선거구 재편에 따른 이해득실만 앞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서지역인 강화군이 또 다른 도서지역인 옹진군과 같은 선거구로 묶일 경우 현재보다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