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떠넘기기·자료거부·항변에 특혜·횡령 등 의혹 규명 역부족
‘결정적 한방 없어’ 제자리 걸음
인천시의회 재산매각 상황과 특수목적법인(SPC) 조사 특별위원회가 각종 의혹 제기만 되풀이 한 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위는 23일 센트럴파크호텔과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 인천아트센터 등 인천시가 100% 출자한 인천도시공사와 인천교통공사가 지분 참여한 특수목적법인에 대한 행정사무조사를 벌였다.
특위는 이날 센트럴파크호텔 사업과 관련해 임대보증금 802억 원 중 일부가 레지던스호텔을 짓는데 유용됐는지 여부, 민간사업자가 도시공사와 협약을 맺는 과정에서 일었던 특혜 의혹 등을 집중 추궁했다.
하지만 이같은 의혹을 밝힐 결정적인 자료와 증인을 확보하지 못해 의혹 규명에 한계를 드러냈다. SPC를 관리하는 인천도시공사도 특위 위원들의 질문에 ‘SPC 측으로 책임 떠넘기기’와 ‘모르쇠’식 답변으로 일관해 빈축을 샀다.
특위는 이어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 인천아트센터 사업에 대한 총체적 관리 부실을 지적했다. 특위는 업무추진비 부정사용, 부당한 ‘함바’ 식당 운영, 명분 없는 사립학교 지원 등 의혹이 제기됐던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 사업에 대해 사전 자료 제출을 요구했지만 대부분 받지 못한 채 의혹만 돼 짚었다.
또 당시 책임자였던 유필우 전 대표에 대해 출석을 요구했지만, 일신상의 이유로 불참해 진실 규명은 이뤄지지 못했다.
특위는 또 인천아트센터의 경우 공사비 문제로 소송 중인 대우건설로부터 일체 자료를 받지 못했다. 특히 용적률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도면조차 확보하지 못했고, 전 대표 등에 대한 증인 출석도 이뤄지지 않았다.
유제홍 시의원은 “증인출석, 자료제출 등 특위의 요구가 대부분 이뤄지지 않았다”며 “SPC와 관련한 조사는 각종 의혹이 규명될 때까지 연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특위는 24일 터미널 부지 및 송도 6·8공구 매각과 관련해 행정사무조사를 벌인다. 특위는 이날 송영길 전 인천시장을 증인으로 요청해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정민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