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른 인천항 민간부두 밀입국 사건 발생과 관련, 보안기관과 해당 기업이 5m 높이의 ‘보안 철판’을 치기로 하는 등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18일 인천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1월 외국인 선원 2명이 밀입국한 인천 북항의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보안 철조망을 훼손하면 경고음이 울리는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또 사각지대가 많다는 지적에 따라 폐쇄회로(CC)TV와 보안 조명도 부두 인근에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현대제철 부두는 6만9천900㎡, 동국제강 부두도 2만9천㎡ 규모이지만 두 곳에 설치된 CCTV는 현재 각각 17대와 12대뿐이다.
특히 현대제철은 기존 2.7m 높이의 보안 울타리를 모두 철거하고 5m 높이의 ‘보안 철판’을 새로 설치할 계획이며 동국제강도 보안대책을 검토중이다.
사고가 난 부두 외 인천항 전체 부두에 대한 보안 점검도 강화한다.
인천항보안공사는 인천항 내항과 북항 등 인천항의 모든 부두를 대상으로 보안장비 등을 전수조사하고 있다.
조사 결과 보안취약 지역으로 판단되면 추가로 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인천항 북항은 국제여객선이 드나드는 인천항 내항과 달리 원목과 고철 등을 주로 하역하는 화물선이 입항하는 곳이다. 전체 면적은 108만㎡에 이른다.
5만 t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선석 8개를 포함해 17개 선석을 9개 민간기업이 사용료를 내고 쓰고 있다.
지난달 보안 감시망이 뚫린 두 부두는 일반적인 무역항이 아닌 기업전용 민자부두지만 경비는 인천항보안공사가 맡고 있다.
인천항 관계자는 “사고가 난 곳은 기업전용 부두이기 때문에 보안시설 보강 작업과 해당 예산은 모두 기업이 부담한다”면서도 “보안 경비를 강화해 밀입국 재발을 막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6일과 17일 인천북항 현대제철 부두와 동국제강 부두에서 각각 베트남인 선원 A씨(33)와 중국인 선원 B씨(36)가 2m 높이의 보안 울타리를 뚫고 밀입국했으며 법무부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는 한 달 넘게 이들의 행적을 쫓고 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